588 0

피드백 유형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쓰기 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Title
피드백 유형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쓰기 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
Author
류영숙
Alternative Author(s)
Ryoo, Young-Sook
Advisor(s)
김성연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유형의 피드백이 한국 대학생들의 영작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오류 교정 피드백은 metalinguistic feedback의 유무에 따른 두 가지 유형의 간접 오류교정 피드백(coded error correction)과 metalinguistic feedback의 유무에 따른 두 가지 유형의 직접 오류교정 피드백(explicit error correction)의 네 가지이다. 본 연구의 연구 질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세이와 자유 작문에 있어서 어떤 유형의 교정 피드백이 유창성과 정확성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가? 둘째, 간접 오류교정 피드백과 직접 오류교정 피드백을 받고 나서 학생들이 어떻게 수정(revision) 하였나? 셋째, 간접 오류교정 피드백과 직접 오류교정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연구 참가자들은 서울에 위치한 한 대학교의 영작문 과목을 수강하는 32명의 대학생들이었다. cloze test와 editing test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룹 간 차이가 없도록 네 그룹에 각각 8명씩 배정하였다. 학생들은 정기적으로 모두 네 번에 걸쳐 피드백을 받았다. 학생들로 하여금 피드백 내용에 따라 매번 고쳐 쓰도록 하였고 피드백을 받는 기간 동안 학습일지(learning diary)를 쓰도록 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로는 유창성과 정확성 향상도 분석을 위한 에세이와 자유작문을 사전 사후 테스트로 이용하였고, 수정 유형 분석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오류 교정 피드백을 받고나서 다시 쓴 텍스트를 이용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오류 교정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학생들이 쓴 학습일지를 이용하였다. 두 가지 유형의 작문 테스트는 수업 시간에 30분 이내에 쓰도록 하였다. 특히, 에세이의 경우, 비교가 용이하도록 사전 사후 테스트에서 같은 주제로 쓰도록 하였다. 유창성 향상도는 에세이와 자유작문에 있어서 피드백의 유형과는 상관없이 일관성이 없는 향상도를 보였다. 정확성 향상도는 에세이에서는 그룹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유 작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직접 오류교정 피드백이 간접오류교정 피드백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류 교정피드백이 한국 대학생들의 영작문에 있어서의 유창성 향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음과 정확성 향상에는 직접 오류교정 피드백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metalinguistic feedback이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학생들의 수정 유형과 성공률에 대한 분석에서 역시 직접 오류교정 피드백과 간접 오류교정 피드백이 학생들에게 서로 다른 영향을 끼쳤음이 나타났다. 직접 오류교정을 받은 학생들은 문법과 의미에 둘 다 신경을 썼지만 간접 오류교정 피드백을 받은 학생들은 주로 기호로 표시된 오류를 고치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류 교정이 학생들로 하여금 오류에만 집중하게 하여 유창성(fluency)을 향상시키는 데는 방해가 된다는 기존의 주장에 반대 되는 것이다. 또한, 직접 오류교정을 받은 학생들이 간접 오류교정을 받은 학생들 보다 더 정확하게 수정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제 2 언어 학습자들의 오류를 다루는 데 있어서 교정 피드백 전략 사용을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야 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일지를 통해 학생들이 오류 피드백을 중요시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간접 오류 교정을 받은 학생들은 자신이 맞게 고친 것인지 확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접 오류교정의 피드백이 학습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려면 피드백이 추가적으로 더 주어져야 할 것이다. 만약에 정확한 형태에 대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은 간접 오류교정 피드백에 대해 반감을 가질 것이고 이것은 영작문 향상에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EFL환경에 있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오류 교정 피드백에 대해 인식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orrective feedback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 The four types of error feedback used for the study were indirect (coded) feedback with and without metalinguistic feedback and direct (explicit) feedback with and without metalinguistic feedback.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ich type of corrective feedback is most effective in promoting fluency and accuracy in essay writing and free journal writing?; 2) how do the students revise in response to indirect and direct error feedback?; and 3) what are student responses to indirect and direct error feedback? The participants were 32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writing course offered by a university in Seoul. Eight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four groups based on the a total score made up of a cloze and an editing test to ensure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iti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students were provided error feedback four times on a regular basis and were required to revise and write learning diaries.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essay writing and free journal writing as pretest and posttest for fluency and accuracy change analysis; revised texts in response to error feedback for analysis of revision types; and a student learning diary for analysis of student responses. The two types of in-class writing were done under a 30-minute time limit. In particular, the topic for essay writing was the same in the pretest and posttest to facilitate comparison. Fluency improvement in essay writing and free journal writing did not show consistency depending on each feedback type in both writing tasks. Accuracy improvement showed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essay writing.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free journal writing, indicating that direct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is finding suggests that different types of error feedback did not directly affect student fluency improvement in writing and that direct error feedback can be more effective than indirect error feedback for Korean college students' written accuracy improvement. Additionally,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written metalinguistic feedback was not beneficial enough for them. However, analysis of student revision types and the success rate clearly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affected by both direct and indirect error feedback. Direct feedback students tried to attend to both form and meaning in revising while indirect feedback students tended to focus more on form (coded errors) than meaning. The results suggest counter evidence that error correction might cause students to focus on errors alone and hinder them from developing fluency. In addition, the direct error feedback group produced more accurate revisions in response to feedback. This data validates the selective use of corrective feedback strategies in handling L2 students’ written errors. Finally, learning diaries showed that the students felt that error feedback was of value to them. However, indirect feedback students often worried about the correctness of their changes. Follow-up teacher feedback would be helpful to facilitate learning through indirect error feedback. If correct forms are not given to students, they might be against indirect error feedback and thus it would definitely affect student progress in writing.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result in greater awareness of and reflection on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written teacher feedback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an EFL contex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23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6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