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6 0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ived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Author
정지선
Alternative Author(s)
Jung, Ji-Sun
Advisor(s)
이정숙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교적응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 그리고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2개교와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교 2개교의 5, 6학년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560부의 질문지를 배부·수거하였고, 그 중 519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관련있는 변인은 지역, 학년, 성별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의 아동들이 부모의 성취압력을 가장 높게 지각하였고 5학년보다는 6학년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 아동보다는 남자 아동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관련있는 변인은 지역, 출생순위, 부모 학력, 아버지 직업, 과외 활동 수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일 경우와 외동일 경우,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일 경우가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과외활동 수가 많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과 관련있는 변인은 지역, 학년, 성별, 출생순위, 부모학력, 부모직업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일 경우와 외동이일 경우가 학교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학년이 6학년보다, 여자 아동이 남자 아동보다 학교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이 높았으며, 어머니가 대졸일 경우와 가정주부일 경우 학교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교적응은 부적상관관계를 보여, 부모의 성취압력이 높으면 학교적응은 낮아지고, 부모의 성취압력이 낮으면 학교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성취압력 집단이 높은 성취압력 집단보다 학교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학교적응은 높아지고, 자기효능감이 낮아지면 학교적응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자기효능감 집단이 낮은 자기효능감 집단보다 학교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자기효능감, 부모의 성취압력, 사회인구학적 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부모의 성취압력과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는 자기효능감이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여,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더라도 아동 스스로의 내적변인인 자기효능감으로 중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초등학교 아동의 원활한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부모의 성취압력이 감소되어야 하고 높은 자기효능감이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들이 자녀에게 학습에 대한 지나친 강요나 개입을 하기보다는 아동에게 맞는 목표를 설정해주고 긍정적 지지와 격려를 해 줌으로써 아동이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과 신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부모의 성취압력보다 아동의 학교적응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아동의 성장에 있어서 내적변인이 환경변인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아동 중심의 가치를 중심으로, 부모의 성취압력이라는 환경변인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라도 자기효능감을 길러줌으로써 아동이 스스로의 내적인 힘으로 중재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ived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ol adjus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effects of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For the above subject, the children who are in the 5th and 6thgrade in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yunggi-do and Seoul are selected as a sample. In total, 560 questionnaires filled in a form in self-report were circulated, but only 519 in 56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ctual data analysi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by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variabl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by children wastheir region, grade and sex, that is, the children who live in Kangnam of Seoul, who are in the 6th grade rather than 5th grade and who are the boys rather than the girls tend to perceive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the more highly. The variables which are connected with self-efficacy was the region, birth order, parent's academic career, father's occupation and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children who live in Kangnam of Seoul, whose father has a professional job, whose parents have a higher academic career, and who has many extracurricular works tend to have higher self-efficacy. The variables which ha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was the region, grade, sex, birth order, parent's academic career and parent's occupation. The group of children who is an only child, who is in the 5th grade rather than 6th grade, who is a girl rather than a boy has a tendency to adjust well to school environment. And the higher academic career a father has, the better children adapt themselves to the school environment. Moreover, when a child's mother is college-graduated and housewife, the child shows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Second, inverse proportion was shown between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ol adjustment, that is, the higher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makes the school adjustment lower, and vice versa. Also, the group of children who perceived low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tends to adjust better to school environment. This result shows that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has a negative effect to school adjustment. Third, direct proportion was shown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at is, the higher self-efficacy makes school adjustment better, and vice versa. Also, the group of children who has a high self-efficacy tends to adjust better to school environment. This result shows that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to the school adjustment. Fourth, the variable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is self-efficacy,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socio-demographical variable in order. It means that self-efficacy most greatly affects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And even though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negatively affect on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self-efficacy helps children mediate it by themselves. On the basis of this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should be reduced and children should have high self-efficacy for the better school adjustment. For this, parents should give their children an individually adequate goal, a positive support and encouragement, which help them feel confident of their ability. Also, the fact that self-efficacy has mor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an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show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inner variables rather than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basis of this kind of value focused on a child, nurturing self-efficacy makes children mediate spontaneously the negative effect from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in spite of its adverse influence on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22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5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