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 0

한국 정보통신기업의 대인도 투자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정보통신기업의 대인도 투자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omotional Plans for Korean IT and Communication Enterprises’ Investment in India
Author
표영길
Alternative Author(s)
Pyo, Young-Gil
Advisor(s)
오웅탁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인도는 1990년대 이전까지 네루식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기본전략으로 수입대체산업화, 국내산업보호를 위한 폐쇄적 대외개방정책,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경제개발을 착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도한 자국보호정책과 세계적 변화에 따라 지금까지 누적된 부작용과 문제점들로 1991년 금융위기를 겪게 되었다. 금융위기를 계기로 인도정부는 개혁과 개방정책을 추진하게 되었고 경제의 시장원리를 채택하고 인프라 사업확대, 제조업 육성, 각종 규제완화, 외국인투자 개방, 새로운 소비문화 확대에 따른 소비증대, IT소프트웨어산업, 정보통신기술산업, 기술혁신 및 R&D 분야에 시장개방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인도는 경제개혁정책을 바탕으로 2003년 이후 평균 8%대의 성장을 보여 왔다. 2007년 Singh 총리는 제 11차 5개년 경제계획의 목표로 10%대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으며 정부의 개혁·개방정책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은 인도의 다섯번째 해외직접투자국이기도 하며 1991년 이후 누적투자 신고건수 132건에 투자신고금액은 10.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대인도 유망투자종목으로는 제조업분야에서 무선통신기기, 자동차부품, 철강판, 석유제품, 합성수지,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 종이제품, 금속공작기계, 컴퓨터 등이며 서비스 분야로는 정보기술, 통신분야, 인프라와 자원개발 등이 있다. 앞으로 한국의 인도투자가 늘어날 것이므로 인도와의 경제협력확대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기업들은 인도 진출에 대한 투자여건 및 환경,정책에 관한 정보를 기 진출업체 및 지인들을 통하여 얻고 있으며 한국기업의 진출단계의 어려움은 인도의 복잡한 행정절차, 투자허가기관 및 합작기업의 잦은 태도변화, 공장부지 선정 및 시공의 어려움 등이 지적되었다. 운영단계상에서는 인프라시설 부족, 원부자재 조달, 고용 및 인사관리 등과 물품 생산 후 내수기업 직납 및 직판·직매장을 통한 판매 또는 납품과 관련하여 대금회수, 가격경쟁, 물류 및 A/S 고비용 등의 애로요인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들의 대인도 진출에 실질적인 정보제공을 할 수 있도록 우리정부와 인도정부의 협력 증진방안을 모색하여 투자정보서비스를 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의 기 진출기업과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은 인도의 28개주의 각기 다른 제도, 풍습, 언어, 규제 등이 있어 인도의 비 체계화된 유통산업 및 구조의 적응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철저한 사전투자 준비가 필요하다. 다양한 문화와 제도로 인하여 인도투자를 위하여는 반드시 사전조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인도인의 취향과 자사의 강점분야가 적용가능한지 여의치 않다면 어떻게 적응할 것인지에 대하여 사전에 명확하게 분석하여 진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판매 전략을 단계별·계층별로 나누고 완전히 현지화된 제품개발을 하여야 한다. 인도의 소득계층은 매우 다양하고 많은 소비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소비층에 제품 개발에서부터 판매 계층을 선정하고 그에 맞는 제품을 개발·판매하여야 한다. 셋째, 기술혁신을 통한 변화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새로운 다국적 기업들이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혁신은 중요하다. 시기가 지났거나 재고 등을 판매로 하여 실패한 많은 외국기업들의 사례를 염두에 두고 언제나 새로운 제품을 출시해 시장점유율을 높여 나가야 한다. 넷째, 조직적이고 합리적인 유통망을 형성하여야 한다. 광활한 국토와 복잡한 지역체계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통은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매우 취약하여 기업들이 유통업체와 계약시 우수하고 규모가 잘 갖추어진 유통업체와 계약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여의치 않을 시는 자체 유통시설을 갖추고 유통망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국기업들이 현지에서 성공적인 경영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현지화, 경영 및 마케팅 현지화, 금융의 현지화, 고용 및 인력관리의 현지화, 제도 및 문화의 현지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부품의 현지화를 추진하기 위하여는 기술의 현지화 역량 제고, IT 등의 현지기술 적극활용 등이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은 현지 기술지도와 R&D 확대, 기술인력의 국내 연수 확대 및 외부기관 위탁, 한국협력업체의 적극적 현지 진출을 추진하며 현지 협력업체에 대한 적극적인 기술지도 및 관리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도시장의 소비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인도시장 및 문화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현지시장, 규제 및 제도, 문화 등에 대한 각종 관련정보와 지원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진출기업은 이를 활용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의 현지화를 위해서는 현지법인 중심의 재정체계 구축, 현지금융시장 활용극대화, 금융위험요소 대응역량 확대 등의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다양한 금융기관 활용, 현지 주식 상장 및 국제적인 금융관리체계 구축 등을 생각해 볼 수 있고, 정부차원에서는 한국수출입은행과 같은 관련 금융기관의 진출을 확대하여 진출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인력관리 현지화를 위하여는 전문인력확보 및 교육의 확대, 본사기업문화의 이해와 현지시장에 대한 이해 공유 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은 현지직원에 대한 비전 제시와 더불어 한국직원과의 공정한 인력관리 등을 추진하고, 정부는 전문교육 기관을 통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도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성공적인 전략을 정리하면 대인도 투자 성공 여부는 향후 인도 시장에서 경영 및 마케팅, 부품 및 기술, 인력 및 노무관리, 금융, 제도, 문화 등 이들 각 부문에 어떠한 현지화 전략으로 접근하는가와 한국정부의 정보제공 및 교육, 경제협력확대, 금융지원, 전문인력 확보 및 교류확대 등 한·인도 CEPA의 조속한 체결로 인도의 높은 관세율을 대폭 인하하여 우리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Up until the 1990s, India has based its economic development on closed foreign trade policy of the Nehruian socialist economic system, supporting import substitution and protectionism, with a focus on the heavy chemical industry. Along with change in the global economic environment, such excessive protectionist policy has led to accumulation of many problems and backfirings culminating in the financial crisis in 1991. This financial crisis has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India’s major economic reform, promoting open foreign trade policy with market-driven orientation. Such change has led to various economic activities lik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enterprises, nurturing manufacturing industry, various deregulations, opening to foreign investments, increased consumption volume boosted from various emerging consumerist cultures, activation of IT software busines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usines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R&D sector. The economic reform has led to a boost in economic growth which recorded 8.5% in the year 2003, 7.5% in 2004, 8.4% in 2005, and it is expected to reach 8% by 2006. In 2007, Prime Minister Singh anticipated a double digit growth (the objective of the 11th round of a 5-year economic plan), believing government’s open economic policy would lead to a sustained economic growth. Korea is the fifth largest direct foreign investor in India recording 132 transactions totaling USD 1.05 billion since 1991.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item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instruments, automotive accessories, steel shafts, refined petroleum goods, air-conditioning and household heating devices, paper products, construction machineries, and computers show bright perspectives for investment activities. Within the service industry,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ector, infrastructure enterprises and resource development demonstrate great investment value. Korea’s investment activities in India are expected to rise over tim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xpanding cooperative economic relationship with India. Korean enterprises is building thorough understanding of India’s investment environment and policy from companies that have expanded into India, and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complicated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rigid foreign investment authority along with ficklesome whims of India’s domestic companies, and difficulty in the acquisition and construction of factory site set many hurdles in the expansion process. Operational difficulty seemed to come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lack of infrastructure and procurement of raw materials, employ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ales and delivery in direct retail channel, direct supply of domestic products, lump-sum payments, price competition, and high distributive and A/S cost. Expanding cooperation between Korean and Indian government in encouraging India to provide necessary investment information for the Korean companies to expand into India would be necessary. Korean companies that have entered the Indian market and those planning to so have difficulty in adjusting to decentralized retail system stemming from distinct local culture, language and regulations specific to individual 28 states of India. Such problems could be overcome by the following measures. First, a thorough preparation is necessary. Diverse local cultures and regulatory systems make prior investigation a priority. The company should analyze whether there is a good fit between the company’s strength and India’s local climate, and possible ways to adjust to it if the fit does not seem so apparent. Second, marketing strategy should be segmented by steps and various consumer classes and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a full localization. India is composed of a great variety of consumer segments and product development should be based on the selected segments. Third, flexible strategy responding to technological innovations should be established. As many multinational enterprises contemplate foreign expansion, technological innovation is very important. Bearing in mind the precedents of many foreign companies failure from excess inventory of obsolete items, one must always try to introduce new product to keep the market share high. Fourth, rational and organizational retail network must be formed. Considering the vast land and complicated localized regional systems forming a somewhat underdeveloped retail system, companies should try to close a deal with domestic companies with sound retail structure, or if the condition does not suffice, investing company should devise its own retail structure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service.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Korean companies to be successful, it is imperative to localize product components,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financing, employment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s culture. In order to promote localization of product components, one can consider localizing technology and employing local IT technology. In order to execute these, practicing local technical training and R&D expansion, supporting local technical education and expanding training period along with outsourcing can be effective. Indian market displays various types of consumer behavior which makes prior investigation in thorough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local culture an imperative. In order to facilitate this, government should try to provide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on the local market, regulations and cultures along with various supportive schemes, and companies would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 to utilize those arrangements. For the localization of financing, one should devise financial system and strategy to reflect domestic corporate enterprises oriented financing system,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local monetary market, financial risk management. In order to facilitate this initiative, companies should consider employing various financial institutions, local listing of company stocks and building 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Korean companies’ expansion through promoting expansion of public financing institution such as the Korea Export-Import Bank into India. For localiz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acquire professional talents and increasing training efforts, as well as promoting understanding of corporate culture along with the sharing of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market. Such can be facilitated through communicating company’s vision to the local employees along with enforcement of fair human resource management. Governmental support in nurturing talent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 could also serve as a good scheme. In conclusion, it is deemed a successful entry strategy into the Indian market is dependent on how well one approaches the localization strategy regarding various areas such as management and marketing, production parts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s management, financing, regulation and cultures and Korean government’s role in providing adequate investment informa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inancing support, further building of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India, acquisition of professional manforce and expansion of various exchange programs, and lowering of tariff barrier through CEPA arrangements leading to strengthening of Korean enterprises competitive advantag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8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5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S](경영대학원) > DEPARTMENT OF BUSINESS AS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