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0

세운상가를 활용한 미디어 빌리지 계획안

Title
세운상가를 활용한 미디어 빌리지 계획안
Other Titles
A Plan For Media village In SeWoon Shopping Mall
Author
박정선
Alternative Author(s)
Park, Jeong-Sun
Advisor(s)
서현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 예비 건축가로서 오늘날의 도시 내에 소외되어 가는 건축물, 도시 구조물 등에 대해서 우리가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하나 하는 고민에서 시작 되어진다. 대부분의 도시 내에 존재하는 건축물은 구조적 수명 등을 무시한 체 사회적 기능에 의해 건축물의 수명이 정해진다. 즉 도심의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을 재활용하는 방법 보다는 무조건 뜯어내어 새로운 건축물과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고자 하는 개발 시대의 일면을 보여 준다. 도시 내 소외 된 건축물을 무조건 뜯어내고 새로 짓는 방법이 아니더라도 그 장소의 오랜 정체성을 살리고 그 고유의 장소성을 지속, 유지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즉 없애고 철거하는 것이 능사라는 기계적 사고가 오늘날의 기계적 도시 계획 사고의 한 전형처럼 보이고 있듯이, 없애고 지움으로서 뭔가 새로운 것이 구현 될 것으로 보이지만 제도적 경로와 관성은 이를 쉽게 허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끝임 없이 지우고 없애는 개발의 연속 속에서 우리는 삶의 흔적을 없애면서 스스로 정체성을 부인하게 되는 것이다. 600년 이상이 된 서울에 60년 이상이 된 건물이 별로 없는 것은, 그간 우리는 끊임없이 없애고 지우는 도시적 삶을 살아왔음을 알 수 있다. 도시의 공간 조직은 도시인들이 오랜 세월 살아온 삶의 관계를 치밀히 짜놓은 것이듯이 건축물 하나하나가 모여서 짜여 진 것이다. 한 건물이 비록 문제가 많다 하더라도 쉽게 허물고 없애버릴 성질의 것이 아니다. 서구의 오랜 도시에서 맛볼 수 있는 공간감도 개별 건물 하나하나를 지켜오고 가꾸어 온 것의 결과이다. 즉 세운상가를 철거한다는 것은 일단 지난 개발 주의시대로부터 살아온 삶의 공간적 흔적을 우리의 시각으로부터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세운상가와 그 주변의 삶의 공간적 흔적을 없앤다는 의미이며. 우리는 그 흔적의 역사성을 존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젠 우리 도시에서는 삶의 시간적 흐름을 지우고 다시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과거의 것을 이어 다듬어가야 할 때이다. 세운상가는 개발주의 시대의 근대적 삶을 실험하고자했던 건축적 이상을 담고 있으며 또한 한국전자산업의 요람이기도하다. 따라서 그 곳의 정체성을 무시한 채 그 장소를 없애고 새로운 장소로 개발한다는 것은 근대의 기간 동안 삶의 흔적을 지우는 것을 넘어 현실적으로는 도심에서의 삶의 흔적을 지우는 행위이다. 또 세운상가구역은 도시 내에서 유일한 프로그램 축을 가진 선형 블록 이며, 김현옥 시장 시절 즉 성장기 동안에 추진된 건축적 도시개발의 가장 강한 흔적으로, 개발 독재 하에서 건축된 것이지만 당시로 가난한 시절 미래지향적 꿈을 담아내려고 했던 흔적이다. 이런 도시 역사의 흔적을 허무는 대신에 그 건축물을 현대 해석에 맞게 제대로 해석하고 구현해 현재의 삶 속으로 다시 받아드린다면 새로이 짓는 것보다 훨씬 값진 것이 될 수 있다. 없애고 지우는 것이 과거에 대한 증오를 반영 한 것이라면, 재해석을 통한 세운상가는 삶의 시간적 흔적을 이으면서 과거와 미래가 화해하는 것이다. 세운상가의 보전적 재활용은 상업적 재건축으로 인해 그곳을 쫓겨나게 할 사람과 활동을 그곳에 계속 머물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하며, 우리 삶의 흔적의 지속시키게 한다. 하나의 건축물은 지우고 다시 쓰는 일회용품이 아니라 도시 내 한 흔적으로 삶의 흔적을 지속 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3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