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8 0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간 이동에 관한 연구

Title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간 이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regional Migration of Highly Educated Labor Force
Author
이종윤
Alternative Author(s)
Lee, Jong-Yun
Advisor(s)
김홍배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기 위해 지역의 자발적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지역균형 개발은 지역인적자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전략은 평생교육체계 그리고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사업을 추진하고 지역상황에 필요한 인력, 인재를 육성하며, 지방대학이 지역인력 양성과 기술을 창출하는 목적과 지역발전과 연계하여 지방자치단체, 산업체, 연구소, 비정부기구등 혁신주체들이 자율적으로 그리고 공동으로 발굴한 혁신과제를 지원해 지역의 자발적 혁신역량을 배양, 강화하는 것이다. 이처럼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인적자원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인적자원이 교육수준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때 학력수준이 높은 고학력 노동자는 지역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국토의 균형발전 전략으로 지역차원에서 인적자원 육성정책을 강조하고 있으나, 인적자원은 지역 간 기회구조의 차이에 따른 지리적 이동 형태와 개인의 효용를 추구하는 사회적 이동 형태로 지역간 이동이 발생 할 수 있다. 지역간 이동은 지역에 따라 고학력 노동자의 유출이 많은 지역에서 지역경쟁력의 약화를 초래 할 수 있으며, 고학력 노동자의 유입이 많은 지역은 지역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 경쟁력에 강화를 위해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간 이동행태를 연구하는 것은 인적자원의 이동 측면이 고려된 현실적인 논의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인재이동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함으로 지역발전 전략 수립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 이동모형을 개발과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고학력자의 지역 간 이동모형에서 설정된 설명변수들을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Model#1, Model#2, Model#3을 구성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Model중 -2LogL 값이 작은 것은 Model#3으로 나타났으며, Model#3의 설명변수로는 1인당 연구개발비, 실업률, 1인당 정보통신산업수, 1인당 교육시설수, 1인당 지방세로 구성되었다. Model#3은 결혼유무 변수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 유의도가 확보되었다. 연구 결과를 해석하면 남성비율이 높은 지역과 고학력 분포가 높은 지역, 1인당 연구개발투자비가 높은 지역, 실업률이 낮은 지역, 교육여건에 해당하는 1인당 교육시설수가 높은 지역, 1인당 지방세가 낮은 지역으로 고학력 노동자가 이동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된 결과의 표준화 계수와 한계효과를 살펴보면, Model#3에서는 1인당 교육시설수의 표준화 계수가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1인당 교육시설수의 변수영향력이 다른 변수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한편, 1인당 연구개발비와 1인당 교육시설변수가 모두 고려되었을 때 한계효과(Marginal Effect)를 계산하면 1인당 연구개발투자비는 0.021로 나타났고 1인당 교육시설수는 0.073로 나타났다. 1인당 교육시설수의 한계효과가 1인당 연구개발비 보다 3.49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학력자의 지역이동의 확률을 높이고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유입을 위해서는 교육시설의 투자를 높이는 정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고학력 노동자의 이동 행태는 연령별, 성별, 지역별 조건에 따라 차별적인 이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태적 차이를 감안 할 때 임금수준이 높은 지역과 취업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 연구개발과 교육기회가 많은 지역에 젊은 계층의 고학력 노동자의 인구구성변화를 가져 올 것이다. 따라서 교육시설의 투자와 연구개발투자 정책은 고학력 노동자를 유입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The regional human resources are the core of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which enforces the initiative innovation, to achieve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f the educational standards form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the highly educated labor forces will be in beneficial positions of the regional human resources. Since highly educated labor can move where they want, so that they can influence the regional competitive power. Hence, the research on the interregional migration of the highly educated labor should be done to build up better the regional competitive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urrent understanding for the interregional migration of highly educated labor and to propose strategies and policies of the regional human resource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This thesis applies the logit model. The explanative variables considered are the age, marriage, gender, annual income per capita, R&D expenditure per capita, educational standards, educational facilities per capita, local tax per capita, and the unemployment rat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pecifies the migration-probability of the highly educated labor. also it shows that the migration-probability more highly occurs in the region of higher male population, higher R&D expenditure per capita, more educational facilities per capita and lower local tax per capita. On the other hand, the thesis shows that the migration-probability occurs less in the region of lower annual income per capita. Finally, the thesis suggests that the investment 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per capita R&D will be invaluable to induce the inflow of the highly educated labo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5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0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도시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