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0

초소형 블루투스 모듈 구현

Title
초소형 블루투스 모듈 구현
Other Titles
The Realization of ultra Miniaturized Bluetooth Module
Author
이근오
Alternative Author(s)
Lee, Keon O
Advisor(s)
곽계달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Such products are composed of mainly mobile phones and Bluetooth stereo headsets and mono headsets as a mobile phone accessory. Such Bluetooth products are basically developed using Bluetooth core chipset. However, Bluetooth is not an easy technology that an engineer can easily achieve because of RF specifications. Since RF related equipment has to be imported, products are commonly being developed with the use of a Bluetooth module rather than the use of Bluetooth chipset. In fact, the major reason for using Bluetooth module is because of RF. When a product is developed using Bluetooth chip, because it is very hard to fulfill all of the 23 test cases, RF test will be omitted if such qualified module was used in development. The size of such Bluetooth module should be small because it cannot be possible to develop a product using a Bluetooth module with a big size in a certain case. One of the effective way to realize a small-sized Bluetooth module is to minimize “Nor Flash Memory” and its positioning, which takes a largest area on a PCB except for the size of Bluetooth chip and so minimizing “Nor Flash Memory” and its positioning are our esse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휴대폰이 진화 함에 따라 좀 더 나은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90년대 중반에 제안되었던 블루투스 기술은 Nokia와 Ericsson 등의 휴대폰 메이커의 주도로 오늘날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이 되어 휴대폰 및 Notebook, MP3 등 많은 IT 제품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기능이 되었다. 블루투스는 블루투스 제품간에 호환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삼고 있다. 이 호환성은 소프트웨어적인 호환성뿐만 아니라 ISM Band 라고 하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블루투스 간의 RF적인 호환성은 물론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 규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블루투스는 블루투스 사양서에 정의 된 규격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이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증을 통과한 제품만이 시장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단순히 동작만 되면 되는 규격이 아니라 23가지나 되는 RF 사양서를 만족해야 하므로 블루투스는 사양서가 발표되고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까지 약 8년의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아직도 구현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 많은 업체들은 블루투스 인증을 통과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해 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IT 분야의 가장 큰 화두는 경박단소로 작게 그리고 얇게 그리고 단순한 디자인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형 부품을 적용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초소형 블루투스 모듈 구현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내용이며, 본 연구로 실제 구현한 블루투스 모듈은 경쟁업체 대비 약 30%의 면적으로 구현 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산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1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전기 및 전자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