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 0

지상파 DMB 음영지역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지상파 DMB 음영지역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ettlement Method Shadow Area of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thor
박상용
Alternative Author(s)
Park, Sang Yong
Advisor(s)
박상규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지상파 DMB 서비스는 지상 중계의 효율성을 위해 주로 VHF(20~300MHz) 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하며, 전파 특성 및 고출력(수 kW)으로 인해 소수의 지상중계기가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상파 DMB 서비스는 지상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상전파가 원천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음영지역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도권 및 경기도 일원의 지상파 DMB 수신환경 및 전파환경 측정을 실시하여 음영지역 도출 및 해소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정보통신부 고시 초단파 디지털 라디오 방송구역 수신 전계강도 기준(45㎶/m 이하인 지역을 음영지역)에 의해 이동측정 경로에 따른 수신전계강도를 35㎶/m 이하인 지역, 35㎶/m~45㎶/m인 지역, 45㎶/m이상인 지역으로 분류하였고, 또한 정확한 지상파 DMB 음영지역 분석을 위하여 화질측정 프로그램으로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화질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적·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신전계강도가 35㎶/m 이하이고, DMB 비디오 프레임이 40% 이상이며 일정 시간동안 반복적·지속적으로 화면이 깨지거나 정지하는 지역에 대해서 음영지역으로 간주하였다. 이 기준에 의해 강화도 등 일부 경기도 지역이 지상파 DMB 음영지역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지상파 DMB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서는 중계망을 구축하여 수신 전계강도를 45㎶/m이상으로 유지하고 DMB 비디오 프레임의 오류율이 3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Recently commonly-using Terrestrial DMB service uses VHF(20~300㎒) band spectrum for efficiency in ground relay, and small number of ground repeater is necessary because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high emission power(some kW). But there exists shadow area where wave cannot reach because Terrestrial DMB service uses ground wave. In this thesis, we did Terrestrial DMB reception environment and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 for the Capital area and Gyunggi-province area, and we classified electric field intensity for mobile-measurement route as region under 35㎶/m, region between 35㎶/m and 45㎶/m, region over 45㎶/m in the standard of "MIC notification VHF digital radio broadcasting-area reception electric field intensity standard" for evaluation and settlement method of shadow area, and we analyzed reg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 using "picture-quality measurement program"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picture-evaluation method for precise Terrestrial DMB shadow area analysis. As a result, we regard the shadow region as the area of electric field intensity under 35㎶/m, over 40% of DMB video frame, and screen being broken or halt repeatedly and continuously for some period. Some Gyunggi-province area like Ganghwa-do is estimated Terrestrial DMB shadow area in this standard. To resolve Terrestrial DMB shadow area, it is important that one should construct relay network to maintain over 45㎶/m of electric field intensity and keep error rate under 30% of DMB video fram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19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전기 및 전자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