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 0

한국인 배아 및 태아에서 상안검의 발생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인 배아 및 태아에서 상안검의 발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pper Eyelid in Korean Embryos and Fetuses
Author
변태호
Alternative Author(s)
Byun, Tae-Ho
Advisor(s)
김정태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안검은 눈의 전면을 덮고 있는 얇은 주름으로 외상이나 과도한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며, 안검을 깜박거림으로서 눈물이 각막 위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눈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성형외과 영역에서 안검이 손상되는 경우 세심한 복원술이 요구되며, 발생 과정 동안 이상이 초래되면 안검 결손, 안검 외반 및 혈관종 등과 같은 기형이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안면 성형술의 일종인 이중 안검술이 시행되는 부위이기도 하다. 이상과 같이 안검은 성형외과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부위로서 해부학적 구조는 잘 밝혀져 있지만 그 구조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발생학적 배경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고, 국내에서는 거의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인 배아와 태아를 이용하여 상안검의 발생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본 실험에 사용한 배아와 태아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 교실에서 수집하여 보관되어 있는 표본을 이용하였다. 발생 5주부터 8주까지의 배아 16예와 발생 9, 12, 14, 16, 18, 20, 24, 28, 32 및 36주 태아 각 2-3예씩 총 29예를 포함하여 총 45예의 표본을 연구 재료로 사용하였다. 외형 관찰을 시행한 후 배아의 경우 연속 절편 중 상안검이 있는 절편을 카네기 발생기 (Carnegie developmental stage)를 기준으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태아의 경우 안와 전체를 절취하고 조직 크기에 따라 적당한 시간 동안 탈회한 후 일반적인 조직표본 제작법에 따라 상안검의 정중부를 시상 절단하여 hematoxylin 및 eosin 염색과 Gomori's trichrome 및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고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아기 동안 발생 18기에서 상안검 주름이 관찰되었고, 발생 22기에 양 안검주름의 외측부가 융합하기 시작하였다. 2. 태아기 전반부 (발생 제 9-20주)에서 발생 제 9주에 양 안검이 서로 융합되었다. 첩모의 모낭과 안륜근의 안검부는 발생 제 12주에 관찰되었고, 첩모 및 그 부속 기관은 발생 제 14주에 형성되어 있었다. 검판은 발생 제 14주에 피막으로 둘러싸인 중간엽 농축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검판선은 발생 제 18주에 출현하였다. 안와격막은 발생 제 12주에 형성되어 있었고, 안륜근의 안검부에 부착되어 있었다. 안와격막 뒤에 분포하는 중심 지방체는 발생 제 16주에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발생 제 18주에는 갈색 지방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격막전 지방체가 발생 제 18주에 안와격막과 안륜근의 안검부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상안검내 동맥궁은 발생 제 14주에 형성되어 있었다. 상안검거근의 건막은 발생 제 12주에 안와격막 후방에서 관찰되었고, 발생 제 20주에 중심 지방체 하방에서 안와격막과 서로 융합하였다. 뮐러근은 발생 제 14주에 출현하고 뮐러근의 건은 발생 제 16주에 관찰되었다. 또한 발생 제 18주에 융합된 양 안검의 표피 사이에 각질이 관찰되었고, 발생 제 20주에 양 안검은 분리되었다. 3. 태아기 후반부 (발생 20-36주)에서 검판선은 발생 제 20주에 분지상을 보이면서 28주에는 검판 길이의 절반, 32주에는 약 2/3, 36주에는 검판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었다. 발생 제 28주에 안륜근의 섬모부가 상안검 피하층에서 관찰되었다. 안와격막과 상안검거근 건막의 주행 양상은 태아기 전반부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지부는 발생 제 32주에 넓게 확장하여 안륜근의 섬모부에 종지하고 있었다. 중심 지방체내 갈색 지방은 발생 제 32주에 소실되어 36주에는 백색 지방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뮐러근의 건은 발생 제 36주에 검판의 피막에 부착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인 배아 및 태아에서 상안검은 7주초 (발생 18기 배아)에 처음 관찰되기 시작하며, 양 안검의 융합 및 분리는 태아기 동안 이루어진다. 상안검 내 구조물은 발생 제 9주에 중간엽 농축의 형태로 출현하여, 제 12주부터 형성되고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성장 및 성숙하여 제 36주에는 성인의 구조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인에서 상안검거근과 뮐러근, 안와격막과 지방조직의 상호 위치 관계 및 서양인과의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며, 향후 하안검의 발생과정을 연구하여 양 안검의 발생학적 차이점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eyelids is one of important part in the plastic surgery. It is required a careful reconstruction to repair eyelid trauma. In addition, congenital anomalies of the eyelids result from aberrations in the various development stages. Thus, in order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s for gross anatomical structures and give a chance to understand mechanisms of congenital anomalies in the upper eyelids, the author has studied 16 cases of embryos and 29 cases of fetuses to demonstrate the development of the upper eyelid in Korean. The external feature of the developing upper eyelids are photographed by stereoscope and digital camera, and the internal structures are studied by hematoxylin and eosin, Gomori's and Masson's trichrome stai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Upper eyelid fold develops in stage 18. Upper and lower eyelids begin to fuse with each other from the lateral side in stage 22, and their fusion is completed at the 9th week. Re-opening of the eyelids is completed at the 20th week. Follicles of eyelash and orbital part of orbicularis oculi muscle is formed at the 12th week, and eyelash and its appendages and tarsal plate under the mesenchymal condensation are found at the 14th week. Tarsal gland begins to develop within the tarsal plate at the 18th week. Central fat pad and preseptal fat are formed at the 16th and 18th week, respectively. Each arterial arcades develops from the 14th week. Ciliary part of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is found at the 28th week. Orbital septum and aponeurosis of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run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12th week, thereafter they fuse with at 20th week and insert into the ciliary part of orbicularis oculi together at the 32nd week. Muller's muscle appears at the 14th week, and its tendon is attached to the tarsal plate at the 16th week. Upper eyelid in Korean appears at the end of 6th week, and fusion and re-opening of both eyelids are occurred during fetal period. In addition, many structures inside upper eyelid begin to form from the 12th week, and are very similar to adult structures at the 36th week.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se results help to understand the basic anatomical differences of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ller's muscle, orbital septum and fat tissues between Korean and Caucasian.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74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27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