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 0

한국인 갑상선 유두상암종 환자에서 XRCC1 유전자 다형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인 갑상선 유두상암종 환자에서 XRCC1 유전자 다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Polymorphism of XRCC1 in Korean Thyroid papillary carcinoma patients
Author
류리아
Alternative Author(s)
Ryu, Ri A
Advisor(s)
태경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Unless DNA damage induced by many carcinogens is not repaired, It would be DNA mutations and lead to cancers. Damaged DNA is repaired by multi-steped DNA repair mechanisms controlled by DNA repair genes. So, The identified polymorphisms of DNA repair genes controlling the DNA repair mechanisms could be associated with many kind of cancers. In this studies, XRCC1 DNA repair ge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NA repair mechanisms at BER step. More than 60 polymorphisms of XRCC1 gene were identified. Mainly XRCC1 Arg194Trp, Arg280His, Arg399Gln were studied for finding out association with many cancers. In this study, authors studied association between XRCC1 Arg194Trp and XRCC1 Arg399Gln genotypes and thyroid papillary carcinoma. Cases were included pathologic confirmed papillary carcinoma patient, and controls were included who do not have thyroid nodule on thyroid ultrasonography.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and analysed for estimating risk ratio of thyroid papillary carcioma as XRCC1 Arg194Trp, Arg399Gln polymorphisms. The results were described as below. 1. XRCC1 Arg194Trp genotypes in 110 patients were 59 Arg/Arg genotype (53.2%), 43 Arg/Trp genotype (38.7%), 9 Trp/Trp genotype (8.1%), and genotypes in 100 controls were 37 Arg/Arg genotype (37.0%), 49 Arg/Trp genotype (49.0%), 14 Trp/Trp genotype (1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requency between pati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univariate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XRCC1 Arg194Trp genotypes and risk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As the results, the odds ratios of XRCC1 Arg194Trp, Trp194Trp genotypes were O R [ 9 5 % C I s ] = 0 . 5 5 0 [ 0 . 3 0 8 - 0 . 9 8 3 ] ) , (OR[95%CIs]=0.403[0.159-1.025]) respectively (Arg194Arg referent genotype, p=0.044). 2. XRCC1 Arg399Gln genotypes in 110 patients were 87 Arg/Arg (78.4%) genotype, 17 Arg/Gln genotype (15.3%), 7 Gln/Gln genotype (6.3%), and genotypes in 100 controls were 72 Arg/Arg genotype (72%), 19 Arg/Gln genotype (19%), 9 Gln/Gln genotype (9%).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requency between pati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univariate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XRCC1 Arg399Gln genotypes and risk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3. Assorting by gend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XRCC1 Arg399Gln, Arg194Trp genotypes and thyroid papillary carcinoma.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is significant decrease of the risk for thyroid papillary carcinoma in Arg/Trp genotype among XRCC1 Arg194Trp. Arg/Trp genotype could be the predicting indicator of the risk for thyroid papillary carcinoma.; 발암물질 등에 의해 손상된 DNA의 손상 복구가 일어나지 않으면 DNA 변이에 의해 암이 발생할 수 있다. 손상된 DNA의 복구 과정은 복구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므로 복구 유전자의 다형은 여러 암종 발생과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져 있다. XRCC1 (X-ray repair cross-complementing group 1) 유전자는 유전자 복구 과정 중 Base excision repair (BER)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복구 유전자로 60개 이상의 다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XRCC1 Arg194Trp, Arg280His, Arg399Gln 등의 다형과 여러 암 발생 위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한국인에서 XRCC1 유전자 다형에 따른 갑상선 유두상암 발생의 위험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갑상선 유두상암으로 진단받은 110명을 환자군으로 하였으며 정기 신체검사를 받은 사람들 중 초음파 검사상 갑상선 결절이 없는 사람 10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말초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XRCC1 Arg194Trp, Arg399Gln 유전자 다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XRCC1 Arg194Trp 유전자 다형을 보면 110명의 환자군에서는 Arg/Arg 유전자형이 59례(53.2%), Arg/Trp 유전자형이 43례(38.7%), Trp/Trp 유전자형이 9례(8.1%) 였고 100명의 대조군에서는 각각 37례(37.0%), 49례(49.0%), 14례(14.0%) 로 나타났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XRCC1 Arg194Trp 유전자 다형의 발현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XRCC1 Arg194Trp 다형에 따른 갑상선 유두상암의 발생 위험도를 비교해 보았다. Arg/Arg 유전자형에 비해 Arg/Trp, Trp/Trp 유전자형의 상대적 위험도를 분석해보면 각각 OR[95%CIs]=0.550[0.308-0.983]), (OR[95%CIs]=0.403[0.159-1.025]) 로 나타났으며 Arg/Trp 유전자형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발생 위험도가 감소하였다(p=0.044). 2. XRCC1 Arg399Gln의 유전자 다형을 보면 110명의 환자군에서는 ArgArg 유전자형이 87례(78.4%), Arg/Gln 유전자형이 17례(15.3%), Gln/Gln 유전자형이 7례(6.3%) 였고 대조군에서는 각각 72례(72%), 19례(19%), 9례(9%) 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XRCC1 Arg399Gln 유전자 다형의 발현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XRCC1 Arg399Gln 다형에 따른 갑상선 유두상암의 발생 위험도를 비교해 보았다. Arg/Arg 유전자형에 비해 Arg/Gln 유전자형, Gln/Gln 유전자형의 상대적 위험도를 분석해보면 각각 (OR[95%CIs]=0.740[0.359-1.529]), (OR[95%CIs]=0.644[0.228-1.814]) 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XRCC1 Arg399Gln, Arg194Trp 다형에 따른 갑상선 유두상암 발생의 상대적 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XRCC1 Arg194Trp 유전자 다형에서 Arg/Arg 유전자형과 비교하여 Arg/Trp 유전자형에서 갑상선 유두상암의 발생 위험도가 의미있게 감소하여 발생 위험도를 예측하는 표식자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7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2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