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 0

상완골 간부 골절과 동반된 요골 신경 마비

Title
상완골 간부 골절과 동반된 요골 신경 마비
Other Titles
Radial Nerve Palsy Associated with Fratures of the Humeral Shaft
Author
최진우
Alternative Author(s)
Choe, Jin Woo
Advisor(s)
박태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 상완골 간부 골절과 동반된 요골 신경 마비의 가능한 원인, 임상 양상 및 경과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경험하였던 상완골 간부 골절 환자 9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수상 후 요골 신경 마비가 동반된 13명과 수술 후 요골 신경 마비가 발생한 9명에 대해 발생 원인, 골절 부위 및 양상을 알아보고 수술 후 신경 마비가 동반된 경우의 수술적 도달법, 수술 시 신경 탐색 여부를 포함한 수술 방법, 수술 시간 및 지혈대 사용 여부 등을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찾아보고자 하였고, 임상 양상 및 치유 경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 단순 골절과 복합 골절에서의 신경 마비 발생 빈도 차이는 수상 후 및 수술 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P=0.400 및 P=1.00). 수술 후 요골 신경 병변은 상완골 원위1/3 이하 부위의 골절과 나선형 골절에서 호발하였으나(P=0.197 및 P=0.056)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수술적 도달법 중 전방 및 전외방 도달법에서 수술 후 요골 신경 마비가 흔히 동반되었다 수술 시 신경 탐색을 한 경우가51예, 신경 탐색을 하지 않는 경우가 29예로, 전자에서 신경 마비 발생이 1예로서 후자 4예에 비하여 수술 후 요골 신경 마비의 발생이 적었다. 결론 : 골절 부위와 양상 및 모양 등은 수상 시 요골 신경 마비의 동반과 의미 있는 관계는 없었으나 압궤 손상 환자와 분쇄 골절 환자 및 중간 간부 이하의 골절을 가진 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있어 요골 신경 마비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술 직후 요골 신경 마비의 발생 가능성에 있어서는 원위 1/3부위와 나선형 골절에서 상당한 연관성을 보여 골절의 부위와 형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전한 후방 도달법의 사용을 고려하고 반드시 요골 신경을 확인하면서 수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related factors, clinical features and natural courses of the radial nerve injury in patients who had the humeral shaft fractures. Material and Methods We reviewed 97 paients who had the humeral shaft fracture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6. Among them, 13 patients who had the radial nerve injury after the trama and 9 patients, after the operation. We tried to analyze the relative factors based on the causes, the location and type of fracture, the surgical approach, the surgical method with exploration for the nerve, the operation time and the tournique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at factors, we also anlysized the clinical features and the natural courses. Result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lex fractures and simple fractures in the nerve palsy after the trauma(P=0.400) and after the operation(P=1.00). Higher rate of radial nerve palsy after the operation was observed in fractures below the distal 1/3 area of humeral shaft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part(P=0.197). The rate of the nerve palsy after the operation was higher in spiral fractures than the other fractures(P=0.056). The rate of the radial nerve palsy after the operation was higher in anterior and anterolateral approachs than posterior approachs. The rate of the radial nerve palsy after the operation was lower in patients who were explored the radial nerve than in patients who were not explored. Conclusions In fractures of the humeral shaf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of the radial nerve palsy in site, type and feature of the fracture.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ssociative radial nerve injury when the case was caused by high energy crushing injuries and these fractures are comminuted and the site is below midshaft area of the humerus. The incidence of the radial nerve palsy after the operation is higher in operation of the spiral fracture and the fracture below the distal 1/3 area of the humeral shaft. So we should consider the posterior approach and inspect for the radial nerve during operation for such fractur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71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6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