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0

복부 수술 후 절개 반흔에 생긴 이소성 골경화의 분석

Title
복부 수술 후 절개 반흔에 생긴 이소성 골경화의 분석
Other Titles
Heterotopic Ossification Developing in Surgical Incisions of the Abdomen: Analysis of its Incidence and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its Development
Author
김진우
Alternative Author(s)
Kim, Jinoo
Advisor(s)
김용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복부 수술 후 절개 반흔에 생기는 이소성 골경화의 발생 빈도와 유발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복부 수술을 시행한 1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사유, 절개 방법의 종류, 수술 소요 시간 등을 후향적으로 파악하였고 각 환자의 CT 영상에서 검돌기의 특성과 이소성 골경화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소성 골경화가 발견된 환자에서는 골경화의 모양과 길이, 골수 포함 여부, 복벽 내 위치, 처음 발견된 시기, 그리고 추적 CT 검사에서 크기 변화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소성 골경화는 39명(25.7%) 환자에서 발견이 되었다. 상복부 중앙 절개 방법을 시행 받은 76예에서 이소성 골경화가 가장 흔하게 발견되었으며 (n=30, 39.5%) 이소성 골경화가 발견된 모든 예에서 가장 흔한 발생 위치는 백색선 (n=29, 74.4%)로 두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였다 (P < .05). 이소성 골경화가 가장 빨리 발견 된 시기는 수술 후 13일째였다. 대다수는 선상 모양(n=20, 51.3%)을 보였고 CT에서 이소성 골경화 내부에 골수가 확인된 경우(n=3, 7.7%)는 드물었다. 수술 후 추적 CT를 단 한 차례 시행한10명의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29명의 환자 중 24예(82.7%)에서 크기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그 중 두 예에서는 골경화가 완전히 사라졌다. 고찰 과거에 알려진 것과 달리 복부 수술 후 절개 반흔에 생기는 이소성 골경화는 드물지 않은 합병증이다. 상복부 중앙 절개 방법을 시행 받은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절개 방법만이 이소성 골경화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인자였다.; Purpose To analyze the incidence of heterotopic ossification developing in incision scars following abdominal surgery, and search for possible factors that may be associated with its development. Materials and Methods In 152 patients who underwent abdominal incisions, the reason for abdominal surgery, type of abdominal incision, and duration of operation in these patients were docum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xiphoid process and presence of heterotopic ossification was assessed on CT. The shape and length of ossification, presence of internal marrow component, location, time of initial discovery, and change in size on follow up were documented. Results Heterotopic ossifications were identified in 39 patients (25.7%). They were most commonly associated with upper midline incisions (n=30, 39.5%) and most commonly located in the linea alba (n=29, 74.4%), both results proving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5). Its earliest discovery was on the 13th postoperative day. Most were linear in shape (n=20, 51.3%), and internal marrow component was uncommonly seen (n=3, 7.7%). Excluding 10 patients who underwent postoperative CT evaluation only once, 24 out of the remaining 29 patients demonstrated change in size (82.7%), completely disappearing in two patients. Conclusion Heterotopic ossification is not an uncommon finding after surgery. The type of abdominal incision appears to be the on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its incide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71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5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