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0

모델 기반 S/W 개발을 위한 모델 기반 개발방법에 기반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역공학

Title
모델 기반 S/W 개발을 위한 모델 기반 개발방법에 기반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역공학
Other Titles
Reverse Engineering of Embedded Software based on Model-Driven Development
Author
나동진
Alternative Author(s)
Na, Dong Jin
Advisor(s)
유민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소프트웨어 생산성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개발 방법론들 중에서 모델 기반 개발방법(Model-Driven Software Development)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추상화 수준(abstraction level)을 높여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론이다. 모델 기반 개발방법의 핵심은 개발자로 하여금 모델만을 설계하도록 하고, 모델 컴파일러를 통해 모델로부터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데 있다. 현재까지의 모델 기반 개발방법론은 대부분 모델로부터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다루고 있는 반면, 코드로부터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모델기반 개발 방법론에 코드에서 모델로 변환하는 역공학 기법을 적용하면, 모델로부터 최종 생성된 코드를 수작업으로 변경하는 경우 역공학을 통해 변경사항을 모델에 반영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C언어코드를 역변환하여 모델을 얻어냄으로써 기존 코드의 재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역변환을 위해 메타모델 수준의 매핑 규칙을 정의하였고, 이를 통해 기존에 작성된 C 언어 코드를 모델로 변환하는 역변환 기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효과적인 역변환을 위해 응집도(coherence)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절차적 언어로 기술된 C 코드로부터 응집도가 높은 객체지향 언어인 UML 모델로 변환하는 최적화 기법을 함께 제안한다; Nowadays, MDD(model-driven methodology) approach is known as one of solutions to improve productivity and maintenance in software crisis. This causes to reduce development cost and time as raising level of abstraction. The core of MDD approach is that model is only designed by a developer and then 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rough a model compiler. While current MDD approach handles model-to-code transform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esearch on code-to-model transformation. If the reverse engineering with code-to-mode transformation applied to MDD approach, generated code can reflect to related model and as prefabricated code is transformed to model, it brings benefits to reuse legacy code. In this paper, we proposed methods to transform prefabricated C code into model and defined mapping rules in metamodel level for the reverse transformation. In addition, we introduced the coherence concept and proposed optimistic techniques to transform procedural language to UML model as object-oriented languag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29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4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