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2 0

일본어와 한국어의 ‘칭찬(ほめ)’에 관한 고찰

Title
일본어와 한국어의 ‘칭찬(ほめ)’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Consideration regarding compliment of both Japanese and Korean language : Based on the TV Talk Show
Author
김은정
Alternative Author(s)
KIM, EUN JUNG
Advisor(s)
박순애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관계에 있어 윤활유적인 기능을 하는 ‘칭찬(ほめ)’이라는 언어행동을 일본과 한국의 TV토크쇼를 통해 분석하여, 대화의 진행과정에 있어 어떤 시점에서 ‘칭찬(ほめ)’이 주로 이루어지며 ‘칭찬(ほめ)’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따른 칭찬의 대상, 그리고 표현 방법의 차이에 따른 칭찬의 대상과 그에 따른 칭찬반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한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의 시점에 따른 ‘칭찬(ほめ)’의 빈도 및 칭찬하는 대상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일본어와 한국어의 언어 표현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그에 따른 ‘칭찬반응’은 어떠한지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연구 결과, 일본어는 한국어에 비해 상대방에 대해 칭찬을 할 때 청자 자신의 FTA를 침해 할 수 있는 사적 요소 보다는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칭찬을 행하였다. 반면, 한국어는 일본어와 비교해 청자의 사적인 것이나 개인사를 화자의 주관적 판단으로서 상대에 대해 평가하고, 청자의 사적 요소를 칭찬 화제로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칭찬 표현에 따른 칭찬 반응 역시 일본어는 자신보다는 칭찬을 하고 있는 화자를 배려하는 마음과 상호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의 진행을 위해 칭찬 반응으로서 수용의 자세를 주로 행하였다. 그러나 한국어는 상호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의 진행도 중요하였으나, 청자 자신이 칭찬을 하고 있는 화자에게 어떻게 보여지고 있는지에 더 중점을 두어 상대방에게 겸손하게 보이기 위한 칭찬 반응을 주로 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칭찬 반응으로서의 무응답반응에 대해 간과한 면이 있으나,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칭찬 반응으로서의 무응답반응은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서의 의식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이었다. 일본어는 칭찬을 의례적이고 상투적인 것으로 간주하였을 때 무응답으로 반응하였던 것과 달리, 한국어는 칭찬의 효과를 축소하려는 것으로서 칭찬에 대한 대답 자체를 하기 난처한 상황에서 응답자체를 회피하기 위하여 무응답으로 반응하였다. 그러므로 한국어에 있어서의 칭찬반응의 스트라테지로서의 무응답반응은, 비껴가기보다 더욱 칭찬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가장 간접적인 전략으로서 사용되었고, 또한 간접적인 의사표현인 만큼 겸양의 가치가 나타나는 언어행동이었다. 이와 같이 ‘칭찬(ほめ)’은 인간관계에 있어서 윤활유적인 기능을 하지만, 異文化간의 의사소통 능력이 없으면 모국어의 영향에 의해 의사소통의 실패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언어학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며, 서로 다른 문화에 기반을 둔 담화자간의 ‘칭찬(ほめ)’의 언어행동을 행하는데 있어서의 실패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1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일본언어·문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