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 0

지역효용과 지역내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

Title
지역효용과 지역내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gional Utility and Intra-regional Migration : The Case of the Gyeonggi Province, Korea
Author
이은진
Alternative Author(s)
Lee, Eun Jin
Advisor(s)
김홍배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Regional population growth can be viewed in two ways; Natural growth, which consists of a region’s birth and death rate, and Social growth, which implies the flow of population of from one region to another. The inflow of population to a certain region gives significant influence to its economic and regional growth. Therefore, regional policies must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tendencies and pattern of its population. Presently,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for regional population migration is at a low level, which consequently brings forth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of certain regions and moreover, can lead to implementation of disproportionate land development planning. Therefore, if a regional policy is instated without proper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factors behind regional population concentration, its validity will be short termed, and wasteful expenditures will occur. In conclusion, for an effective and proportionate establishment of regional development, an in-depth study of population migration must be preced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directions for regional policiesby using for groups of regional utilities. An evaluation of regional utilities of thirty one city of Gyeonggi Province has been conducted to produce the 4 modules of regional utilities. A synopsis of the thesis is as below: First of all, difference of regional utilities causes population migration. Therefore, this thesis will deduce a model conforming to the regional utility of population migration. Also, from examination of past studies, it will deduce the factors consisting of population migration, and will set evaluation articles and index that are suitable to its consisting content. More specifically, these indexes will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 economic, educational, public service,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affairs, and environment. In order to prioritize the factor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significance, this thesis have deduced weight of each factors based from professional surveys usingPairwise Comparison Matrix of AHP.Weights for regional population migration on the surveys show 0.366 for economic factors, 0.321 for educational factors, 0.122 for public service factor, 0.106 for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factors. This shows that economic condition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are the main significant factors contributing to regional population migration. On contrast, the results showthat public service,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 factors are considered less significant. By standardizing scores from evaluation index of Gyeonggi Province data, this thesis has deduced thirty one city utility index. Next, the indexes have been categories them into four regional groups. The four regions consists of immigration extend region, immigration region, outmigration region, outmigration extend region. The four regional groups show that the regional utility which causes the population migration decreases consecutively from group 1 to group 4. From this analysis, this thesis will suggest regional policy measures that conform to each type of region.; 지역의 인구성장은 출생과 사망으로 이루어지는 자연 성장과 인구이동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성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구이동은 지역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경제성장 및 지역성장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지역의 정책은 인구이동에 대한 이해를 기본 바탕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현재는 인구이동에 대한 이해가 낮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인구집중이 일어나고, 나아가서는 국토발전의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 인구이동의 원인과 특정지역에 집중하는 구체적인 이해와 분석 없이 지역정책이 수립되면 정책의 유효성은 낮아지고 자원의 낭비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균형적인 지역발전정책의 수립을 위해서 인구이동의 원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역의 효용을 평가하고, 지역의 효용에 따라 4개 그룹으로 유형화하여 그에 따른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이동은 지역이 갖는 효용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지역이 이동하는 원인인 지역의 효용에 적합한 모형을 도출한다. 그리고 기존연구고찰을 통해 인구이동요인의 구성부문을 도출하고, 구성부문에 적합한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경제부문, 교육부문, 공공서비스부문, 행정 및 재정 부문, 환경부문의 다섯 개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성요소별로 중요도를 각각 달리하기 위해 AHP의 쌍대비교를 이용한 전문가 설문을 토대로 구성부문별 가중치가 도출되었다. 전문가 설문을 통해 도출된 지역 인구이동 요인의 가중치 결과를 살펴보면, 경제부문은 0.366, 교육부문은 0.321, 공공서비스 부문은 0.122, 재정 및 행정부문은 0.085, 환경부문은 0.106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이 갖고 있는 경제적 여건이나 교육인프라 등이 인구의 이동에 있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공서비스나 행정, 환경부문은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구축된 경기도 데이터자료를 이용하여 평가지표를 표준 점수화시켜, 경기도 31개 시?군의 효용 지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효용 지수의 결과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유형화 된 지역은 인구유입 확대지역, 인구 유입지역, 인구 유출지역, 인구유출 확대지역으로 나뉜다. 이들 유형화된 4개 그룹들은 유형1그룹에서 유형4그룹으로 갈수록 인구이동원인인 지역의 효용이 낮아 지역성장이 취약함을 알 수 있다. 이를 근거로 지역의 유형에 맞는 지역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2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도시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