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0

실시간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관한 연구

Title
실시간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atabase Model for Real-time Space Control
Author
이상효
Alternative Author(s)
Lee, Sang Hyo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건축 분야에서는 3D CAD, BIM 등을 활용한 물리적 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설계, 시공 분야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시공 단계 이후 건축물 운영 관리 단계에서는 부재 중심의 객체 데이터인 정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공간 내 유동 인구, 위험 상황 인지 등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간 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게다가 최근 가용공간 부족, 지가 상승, 랜드마크적 상징성, 도시재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집적형 복합용도 건축물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공간은 더더욱 운영 관리 측면에서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가 대량으로 축적됨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 외부 공간 관리 분야에서는 GIS(Geometr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GIS는 건축물 외부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도시환경 관리, 교통량 분석 등 다양한 외부 공간 정보 관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 내 공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GIS(Geometr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를 기본 프레임웍으로 하고 3D CAD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한 GIS 공간 및 속성 데이터를 정적 데이터로, Image Processing을 통한 인구 유동 데이터를 실시간 동적 데이터로 활용한 실시간 공간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의 기반 연구이다. 본 논문은 실시간 공간 정보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GIS 프레임워크에서 건축물 내 정적 및 동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Recently, the study on the method to apply the space information database through 3D CAD, BIM to the design phase or the construction phase is progressing activel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ut not only the static data to be the object oriented member data but also the real-time dynamic data related to the population flow, detecting the disaster situation is needed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phase. And the more mixed-use buildings are developed, the more important it becomes to manage the static and the dynamic data efficiently. This research is a part of project to develop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to apply GIS(Geometric Information Systems) as system framework, the space and the attribute data of GIS based on object-oriented 3D CAD information as the static data and the population flow data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as the dynamic dat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database model to manage various data of indoor space efficientl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3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9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