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7 0

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모관심에 대한 연구

Title
대학생의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모관심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Interest in Appearance, Skin Care and Dietary Behavior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Author
김수진
Alternative Author(s)
Kim, Su Jin
Advisor(s)
이규혜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유행과 문화적인 트렌드 변화에 가장 민감한 반응과 관심을 보이며 유행을 선도하는 시기에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모에 관심을 갖는 동기를 파악하고 외모관심이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피부지식과 영양지식의 수준을 매개로 하여 알아 볼 것이다. 따라서 긍정적이고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지니도록 하기 위해, 현재 대학생이 중 · 고등학교 가정교육 수업을 통해 배웠던 교과내용 중 영양지식이 식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피부지식과 연계하여 피부건강관리행동에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올바른 지식을 제공하고 실천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관심이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생의 외모관심 유형 및 동기에 대해 알아본다. 두 번째, 외모관심이 피부지식과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세 번째, 외모관심이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네 번째, 외모관심이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피부지식, 영양지식의 매개적 영향력을 알아본다. 다섯 번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차이를 알아본다. 여섯 번째,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이 외모관리 지출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일곱 번째,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있어 중 · 고교 기술·가정 수업의 교육효과를 알아본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건강관리행동 및 식생활행동에 관련된 다양한 지식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가정교육 수업에도 영양 및 피부지식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올바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설문지 응답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서울에 거주하는 남, 여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40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for Window 12.0 Program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그리고 사후검증을 위해 Duncan Test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주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외모관심 유형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은 사회적인 외모관심이 개인적인 외모관심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신의 외모에 만족을 하는 학생일수록 외모에 더욱 신경을 쓰고 외모 가꾸기에 노력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생의 외모 중 가장 관심이 있는 영역에 대해 ‘ 몸매’(M=3.74) 가장 관심도가 높았고, ‘피부(M=3.73)’, ‘헤어관리’(M=3.49) 그리고 ‘옷 및 액세서리’ (M=3.39) 순으로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미용성형수술(M=2.69)’과 ‘화장품’(M=2.66)에 대한 관심은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의 외모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관심을 두는 부분은 ‘옷’126명(31.5%)이 가장 많았고, ‘여드름관리’ (16.3%), ‘전문피부관리’(10.8%)순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 · 여대학생 모두 ‘이성에게 호감을 얻기 위해’(β=.28, p<.05) 외모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β=.13, p<.05) 외모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여학생들만이 높은 결과를 보여 여학생들이 사회진출을 하는데 ‘외모’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모관심이 피부지식과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피부지식은 사회적, 개인적인 외모관심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영양지식은 사회적, 개인적인 외모관심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부지식과 영양지식이 상반된 결과를 보였으나 개인적 외모관심에는 동일하게 음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자신의 외모에 만족하더라도 피부지식이나 영양지식이 모두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결과를 보여준다. 셋째, 외모관심이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회적인 외모관심은 ‘전문적인 피부관리’(32.06%)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개인적인 외모관심에는 영향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인 외모 관심이 높은 학생은 ‘피부건강추구’(8.10%)와 ‘화장품 사양’(7.12%)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크게 미치고 있으며 특히 사회적인 외모관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학생이 피부지식이 높을 경우 미용제품 선택에 더 많은 신경과 관심을 갖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외모관심 대상이 식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개인적 외모관심대상 모두가 ‘식사의 규칙성’에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의 즐거움 추구’성향이 높을 경우 사회적 외모관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식생활건강’은 개인적 외모관심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모관심이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 피부지식, 영양지식의 매개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문적인 피부관리’와 ‘피부건강’은 피부지식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장품 사양’과 ‘피부관리행동’은 상관값을 나타냈다. ‘식사의 규칙성’과 ‘식사의 즐거움 추구’, ‘식생활건강’은 모두 영양지식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피부지식과 영양지식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군복무여부에 따른 피부지식과 영양지식은 군복무를 마친 학생들이 높았다. 전공별 피부지식은 ‘인문 · 사회 · 어문'계열(M=.12.33)이 가장 높고 ‘경제 · 경영’ (M=.12.13)계열이 낮았고 영양지식은 ‘공대 · 자연’계열(M=.12.67)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인문 · 사회 · 어문'계열(M=.12.65), '경제 · 경영'계열(M=.12.54), '생활 · 예체능 · 교육'계열(M=.12.51) 순이었다. 거주형태에 따른 피부지식과 영양지식은 모두 ‘자택’에 거주하는 학생이 높았고, ‘하숙’이 낮았다. 여섯째,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식생활행동이 외모관리 지출비용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피부건강관리행동 변수 중 ‘전문적인 피부관리’(t=5.9, p<.001)를 받는 학생은 외모관리 지출 비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식생활행동 변수 중 ‘식생활 건강’(t=1.9, p<.001)에 높은 성향을 보인 학생도 외모관리 지출 비용수준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식사의 즐거움 추구’, ‘식사의 규칙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식생활행동과 피부건강관리행동이 기술 · 가정교육의 효과 여부를 분석한 결과 피부건강관리행동의 변수들은 모두 기술 · 가정교육의 효과가 있다 하였고 식생활행동의 변수인 ‘식사의 규칙성’과 ‘식생활건강’만이 기술 · 가정교육에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기술 · 가정수업의 식생활 단원 중 ‘식사와 건강’의 교과내용이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외모에 관심이 많은 학생은 피부지식이 높고 피부건강관리행동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영양지식은 오히려 외모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고 식생활행동에도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 ·고교 때 기술 · 가정수업에 배웠던 영양지식과 식생활행동의 교과내용에 보완, 수정이 필요하며 영양 및 균형 잡힌 식생활과 연계되는 올바른 피부지식과 피부건강관리행동의 내용이 교과교육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내용의 실천과 응용이 가능한 정보전달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ue to the economic growth and well being of contemporary society, appearance care is regarded as the essential factors. ?Individuals who are more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may be more concerned about whether their skin looks healthy and their dietary habits. This study shows the motive and degree of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and analyzes whether they simply follow fashion or they form the knowledge of appearance ca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sic motives of the interest in appearance, to examine the effect of appearance interest on skin care and dietary behavior,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on skin care and nutrition) in the processes. In addition, effect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vel education on such subjects were studied. The research could provide better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appearance, skin care and dietary behavior of young consum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the empirical study?400 data from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live in Seoul were used as data of final analysis. Measures for motives for appearance management, appearance interest, skin care knowledge, nutrition knowledge, skin care behavior and dietary behavior were adopted and modified from existing studies. SPSS for Window 12.0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Descriptive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and regression were conducted. ?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got more interest in social aspects of appearance than in individual appearance. It means that student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try to care appearance more than those who are not. In general, their interest in 'figure' was the highest and then in skin, hair care, and clothes and?accessories in order. Interest in plastic surgery and cosmetics was the lowest. Also, in appearance, they have the most interest in clothes and then in pimples care, specialized skin care in order. In both sexes, they care their appearance in order to get attention of the other sex but female students care their appearance in order to succeed in a society, too. So it means that women's appearance is the vital element in becoming a member of this society. Both social and individual interest in appearance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knowledge of skin. On the other hand, neither social nor individual interest in appearance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knowledge of nutrition. In particular, the result of knowledge of skin is opposite to that of knowledge of nutrition but both show negative relation in individual appearance. It means that not all of those 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have lots of knowledge of skin and nutrition. Social interest in appearance has meaningful significant influence on specialized skin care and individual one doesn't. Also, students who have social interest in appearance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pursuit of skin health and refusal of cosmetics. Among them, those who have high knowledge of skin seem to become more attention and interest in choosing beauty products. Regarding dietary behavior, neither social nor individual interest in appearance is meaningful to regular meal. The pursuit of enjoyment of meal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social interest in appearance and health of dietary life is meaningful influence on individual interest in appearance.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of skin and nutrition,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skin and?specialized skin care and skin health bu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skin and refusal of cosmetics and skin care behavior.?Female students have more knowledge of both skin and nutrition than male. Male students who had military service have more knowledge of skin and nutrition than those who didn't.? In major, an engineering college has the highest knowledge of skin and a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the lowest. An engineering college has the highest knowledge of nutrition and then human, social, language, economics, business, living, artistic, physical, and teacher's college in order. Also, in residence, those who live in their own house have more knowledge of both skin and nutrition than the others. Sixth, students who get the specialized skin care spend more expenses than those who don't. Also, students who have regular meals spend more expenses for their appearance care than the others. No influence on the pursuit of enjoyment of meal and dietary health. Lastly,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vel education on skin care and dietary behavior in the Home Economics disciplin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for college students. Better learning and teaching programs related to appearance management has to be acknowledg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7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VOCATIONAL EDUCATION(실업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