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0

치과위생사의 건강자각증상 특성 평가

Title
치과위생사의 건강자각증상 특성 평가
Other Titles
A Health Questionnaire Survey on Self Reported Symptoms of Dental Hygienists
Author
최정옥
Alternative Author(s)
Choi, Jung Ok
Advisor(s)
김윤신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의 효율적인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하여 치과위생사들이 경험하는 실내자각증상을 조사하고, 각 특성을 대변하는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치과병의원의 실내환경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부산, 경남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65명을 대상으로 하여 2008년 3월 24일부터 4월 11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빌딩관련 건강자각증상 지표로는 NIOSH의 문항 중 관련된 12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분석 및 t-test, 상관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실내환경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이었으며, 하루 중 실내 공기환경이 가장 나쁜 시기는 오후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특수기기 사용에 있어 방사선 촬영시에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는 치과위생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빌딩관련 건강자각증상 중에서는 일반증상군과 자극증상군이 피부증상군과 호흡기계증상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여부, 근무년수가 의미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근무환경에서는 업무만족도, 급여만족도, 진료실 형태가 의미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진료실 유해환경에 따른 건강자각증상과 관련한 요인으로는 분진, 악취, 방사선, 광조사가 의미있는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일반증상군외의 다른 증상군에서는 유발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빌딩관련 건강자각증상과 관련있는 요인으로는 일반증상군에서는 외출시간, 업무만족이 , 자극증상군에서는 외출시간, 실내쾌적정도가 의미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업무만족도가 낮을수록 일반증상에 대한 자각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실내쾌적의 정도가 불쾌할수록 자극증상 자각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치과병의원은 특수한 치과의료 행위로 인해 많은 분진, 소음, 악취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실내환경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환경적 요인들이 치과위생사의 건강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치과병의원의 특성에 맞는 특수한 실내환경에 대한 적절한 관리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ffectively manage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of dental clinic by surveying indoor self-consciousness symptoms experienced by dental hygienists and evaluating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hich represent each trait. The survey questionnaire of 265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 was done between March 24 and April 11 in 2008. Indicators of building related self-consciousness symptoms of health were extracted from 12 related sentences of NIOSH.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including ANOVA, t-test, auto-correlation and covariance by using SPSS 12.0 software package. The dental hygienists' level of recognition of indoor air quality was in the middle and they evaluated the indoor air quality are at the worst level in the afternoon. The recogni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among dental hygienists who do not wear protective gear when taking X-rays. Among building related self-consciousness symptoms of health, the group of general symptoms and stimulus symptoms were higher than the group of skin symptoms and respiratory organs symptoms. Among general traits, age, marriage, and the number of working years were analysed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among general working environmental traits, work satisfaction, salary satisfaction and the type of medical office were analys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ese results conclude that dental clinic has an indoor environment which can arouse a lot of dust, noise and foul smell, and these environmental elements can affect dental hygienists' self-consciousness symptoms. Accordingly,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for indoor environment are needed for each dental clinic.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4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EALTH SCIENCES(보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