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 0

경영혁신 영향요인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경영혁신 영향요인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ffect Factors of Managerial Innovations on a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uthor
문의학
Alternative Author(s)
Moon, Eui Hak
Advisor(s)
이정연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경영혁신에 관한 연구는 크게 혁신의 확산이론(Diffusion of Innovation), 혁신의 결정요인이론(Decision Factor of Innovation) 그리고 혁신의 과정이론((Process of Innovation)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혁신의 결정요인 연구를 중심으로 타 경쟁회사보다 높은 경쟁력을 확보 또는 유지하고, 경쟁우위, 조직구성원의 만족 그리고 고객만족 등을 통한 경영혁신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경영혁신을 어떻게 추진·적용하여야 하는가를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본 연구는 경영혁신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병행하며, 이론적 연구는 본 연구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실증분석은 경영혁신 성공요인, 경영혁신의 조절요인과, 경영혁신 실시에 따른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기대되는 요인을 가설과 함께 제시하고 설문지 조사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조사 표본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종업원 50명이상인 76개 기업의 경영혁신 추진팀 구성원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요인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는 유의적인 관계가 발견되었고, 업종간에도 영향관계에 대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인적요인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도 유의적인 관계가 발견되었고, 업종간에도 영향관계에 대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세째, 환경요인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도 업종간의 차이가 발견되었고, 또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고 있어 경영혁신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네째, 기업유형간 조직유효성간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즉, 서비스업의 조직유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건설업,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유용성은 경영혁신의 개념체계 또는 방법 등에 관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검토하고, 가설을 실증분석함으로써 경영혁신 영향요인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 업종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경영혁신의 성공적 모형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지역별 그리고 규모별로 경영혁신의 특성 및 요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2008년 이전에 경영혁신을 도입하여 성과가 발생한 업체로 그 조사대상 업체를 엄격하게 제한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사대상 업체 선정 시 동일한 경영혁신기법을 적용하고 있는 기업별로 조사가 이루어져서 그 특성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네째, 적은 표본대상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해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향후 보다 많은 표본대상기업과 심층적인 설문으로 경영혁신과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더욱 세분화하여 이론의 일반화 연구에 추가적 노력이 필요하다.; Studies on managerial Innovations are divided largely into Diffusion of Innovation, Decision Factor of Innovation and Process of Innov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managerial Innovationis prog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positive study to secure and maintain the stronger competitive power than other competitors focusing on the research of managerial innovation’s decisive factor and to maximize managerial innovation’s output through employee’s and customer’s satisfaction, etc. To accomplish such an object, in case of the theoretical research, the preceding researches having thesame area are reviewed and in case of the positive, the expected factors were presented with hypothesi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and were verified through inquiring and analyzing by the questionnaire, doing the both existing research on managerial innovation at the same time. Sampled target for the questionnaire was the managerial innovation team member 228 persons in the 76 companies having more than 50 employees in the capital area. Hypothesis verifi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meaningful 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ystem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influence rel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ustry kinds was found also. The second, the meaningful relation was found between human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influence rel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ustry kinds was found also. The thir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ustry kinds was found between environmental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it is confirmed that it is an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on the managerial innovation output. The 4^(th), organization effectiv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any pattern was verified. Namely,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service industry was the highest and the next wer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company. This study’s availability is that the positive research base for the managerial innovation’s successful model was made ,as reviewing the existing theoretical and positive researches through the documents research and preceding research, finding the relation of factors influencing manageri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by positively analyzing the hypothesis and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ustry kinds such as construction, manufacturing, service etc. The first, the critical point came from the fact thatanalyzing the relation of the managerial innovation’s features and factors is needed. The second, it is needed that the survey targeted company should be restricted tightly to the companies where output is generated, introducing the managerial innovation before 2008. The third, it is needed that when the survey targeted companies are selected, the features from the companies having the same the managerial innovation tool are compared. The 4^(th), there is a critical point in generalizing the derived results and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Later, effort of generalizing the theory should be added, as breaking down factors influencing manageri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by the more sampled targeted companies and in-depth questionnai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13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5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