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 0

진주종성 중이염 환자에서 반대쪽 귀의 임상 양상 및 유양동 함기화 상태

Title
진주종성 중이염 환자에서 반대쪽 귀의 임상 양상 및 유양동 함기화 상태
Other Titles
A clinical evaluation and mastoid pneumatization of contralateral ear in the unilateral cholesteatoma patient
Author
강석영
Alternative Author(s)
Kang, Seok young
Advisor(s)
이승환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진주종은 측두골에 파괴성 병변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진주종의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으며, Bezold 등이 제시한 retraction invagination theory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1) 유양돌기의 함기화가 진주종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제안되어 왔으며, 일측성 진주종 환자에서 반대측 귀에 병변이 발생할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1)2)3)4) 본 연구에서는 일측성 진주종성 중이염 환자에서 반대쪽 귀의 임상양상과 방사선 검사를 이용하여, 반대측 귀의 함기화 정도와 중이질환 발생의 잠재적 위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측성 진주종성 중이염으로 진단 받은 52명의 환자와, 정상 고막소견과 정상 청력의 대조군 29명을 대상으로, 검이경과 현미경을 통한 고막검사와 청력검사를 시행하였다. 측두골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하여 측반규관이 관찰되는 축상 단면에서 함기골포의 면적을 측정하고, 전체 측두골의 면적에 대한 함기화된 영역의 비율(함기율), 전상고실와의 발달정도, 상고실의 폐색여부, 이관의 개폐여부, 안면신경와의 상태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주종 환자군 52명 중 31명에서 반대측귀의 고막함몰, 고막천공, 상고실 파괴 등의 병적 고막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청력 검사상 31명은 정상청력, 12명은 경도 난청, 5명은 중등도의 난청, 4명은 중등고도이상의 난청소견을 보였으며, 이중 19명은 15dB이상의 기도 골도 차이가 있었다. 2. 병변측 귀, 반대측 귀, 대조군의 평균 유양동함기부의 면적은 각각 1.97㎠, 2.72㎠, 4.45㎠, 함기율은 각각 22.6%, 29.4%, 42.0%로 각각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4, 0.010) 3. 병변측의 경우 16례(31%), 반대측 귀에서 4례(8%)에서 부분 혹은 완전한 이관폐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전상고실와의 발달정도는 발달이 안된 경우, 하나의 봉소로 이루어진 경우, 여러개의 봉소로 나누어진 경우로 분류하였을 때, 병변측에서 각각 62%, 37%, 2%, 반대측에서 13%, 50%, 37%, 대조군에서 43%, 50%, 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본 연구의 결과 진주종성 중이염 환자의 반대쪽 귀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함기화 정도, 이관기능, 이관과 상고실사이의 환기경로가 감소되어 있다. 이는 중이병변의 발병에 중요한 위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반대쪽 귀의 중이 병변의 조기 발견 및 치료를 위해 지속적인 임상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holesteatoma in middle ear can be found unilaterally or bilaterally. In unilateral case, the contralateral ears show various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and there can be higher rate of middle ear disease in the contralateral ear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cholesteatoma then with normal ears.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aspects of contralateral ears in unilateral cholesteatoma patient and the risk of middle developing middle ear diseases in contralateral ear. sixty two patients with unilateral cholesteatoma and twenty nine patients with bilateral normal ears were underwent otoscopic and audiologic examination. The radiologic assessments were performed with TBCT. Degree of the temporal bone aer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image processing program. The status of anterior epitympanic space and E-tube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were described as below. 1. In cholesteatoma group, 50% of the contralateral ears showed abnomal tympanic membrane findings such as perforation, retraction, attic destruction. In the audiologic examination, 10% of contralateral ear showed moderate hearing loss and 3% showed the severe hearing loss. 2. The aeration area were 1.81±1.01㎠, 2.50±1.31㎠ and 4.49±1.45㎠, proportion of the aeration were 24%, 28% and 42%, in cholesteatoma, contralateral and control ears. 3. Development of anterior epitympanic space and E-tube patency were more decreased in the contralateral ear than these of the control ears. Base of these results, the degree of temporal bone pneuamatization, eustachian tube function, and development of the anterior epitympanic space in the contralateral ea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re can be greater possibility for developing middle ear disease. Continuous monitoring of contralateral ear is crucial for the early discovery and optimal treat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9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