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아-
dc.contributor.author이종화-
dc.date.accessioned2020-04-03T17:20:42Z-
dc.date.available2020-04-03T17:20:42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8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057en_US
dc.description.abstractCollage technique that started from pure art of Picasso, has been developed as a method of architectural expression to this century of digital media. Collage technique is a means of satisfying visual, tactile, and auditory needs, and it is a method of expressing architectural potentials of objet through analysis, combination, and recreation of objets in various aspects. Various expression methods of collage, such as distortion, combination, and texture expression along with various digital media can be used to express dynamic emotions, and any substances that are physically difficult to combine may be done in collage using simple materials. Such collage techniques have widely been used in modern art. This study suggests a solution toward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collage that will enable learners to view digital media as an extended material of collage, and to view and express images through the use of such materials. 'Digital media' refers to pictures, movies, television, video, advertisement, and computerized images that is an important means of conveying messages through various images. Students in this modern times come in contact with various media through TV, movies, video, and computer. Accordingly, they are very familiar with handling digital media. While the students are quickly adapting to the fast changing modern society, collage education of current textbook relies too much on its formal aspect. Lack of sufficient educational tools also make it difficult to apply them in direct expression activities. However, the current times where digital media culture has become part of a student's life, requires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in the art textbooks. Such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will enable students to express digital media collage, which will strengthen the student's application and creativity, and the ability to view art with critical thinking. This study searched for specific methods of applying digital media collage in educational programs. Chapter Ⅱ trie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modern collage in modern art, by observing various types of collage that have been used so far, different expression characteristics used, and how different forms of collage have been applied in modern art. Chapter Ⅲ tries to study collage expression in the medium of digital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collage that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current settings. Chapter Ⅳ trie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digital media collage, and observe its possible developmental aspects. The chapter also analyzes grade 7 textbook collage, in order to identify the limitations of current collage art education. Chapter Ⅴ studies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digital media collage. The chapter also suggests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that facilitate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collage through the use of pictures, computer, video, TV, cell-phone, and web that are familiar to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intended to enable learners to come in active contact with modern art by expressing their individual opinions and visualizing the results.; 입체주의 피카소에서부터 시작된 순수회화에서의 꼴라쥬 기법은 매체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이르기까지 조형적 표현의 한 방법으로써 시대를 달리하며 발전해 왔다. 꼴라쥬 기법은 오브제의 속성을 다각도로 분석, 종합, 재현해서 재구성함으로써 인간의 시각, 촉각, 청각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며 조형적 잠재성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다. 꼴라쥬의 표현 방법인 이미지의 왜곡, 합성, 질감표현 등 다양한 디지털미디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융합하기 어려운 작업도 아주 간다한 재료를 구성하여 꼴라쥬 할 수 있다. 이러한 꼴라쥬 기법은 현대미술에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표현매체 확장에 따른 꼴라쥬의 활용과 이해를 위한 방안제시를 통해 미술표현에 나타난 디지털미디어를 꼴라쥬의 연장선의 재료임을 알고, 재료를 통한 이미지들을 체계적으로 받아들이고 표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미디어'란 사진, 영화, 텔레비젼, 비디오, 광고, 컴퓨터 영상 등과 같은 이미지들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학생들은 문자에 익숙해지기 앞서 TV, 영화, 비디오, 컴퓨터를 통한 수많은 매체들을 접하게 된다. 그래서 디지털미디어를 다루는 것이 익숙하다. 이렇게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학생들은 빠르게 반응하고 있는데 반해, 현행교과의 꼴라쥬 영역은 형식적인 측면에만 너무 치우치고 있다. 교육환경 또한, 7차 교육과정의 짧은 수업시수와 여러 가지 장비의 미흡으로 인해 수업에서 직접 표현활동에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디지털미디어 문화가 학생들 생활에 깊이 침투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미술교과는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학습은 학생들에게 디지털미디어 꼴라쥬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 줌으로써 비판적인 안목과 수용능력 및 활용하고 제작하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헌 연구를 통해 내용체계를 잡고 꼴라쥬의 연장선인 디지털미디어 꼴라쥬 교육의 활용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오늘날이 오기까지의 꼴라쥬의 등장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꼴라쥬의 표현적 특징과, 현대 꼴라쥬의 양식이 어떻게 등장하고 현대미술의 흐름에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이해하고자 했다. Ⅲ.장에서는 디지털미디어 꼴라쥬가 오늘날 중요하게 인식된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미디어 공간에서의 꼴라쥬 표현에 대해 고찰하고자 했다. Ⅳ.장에서는 디지털미디어 꼴라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미술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중학교1학년 7종교과서 꼴라쥬를 분석하므로 현재의 꼴라쥬 미술교육의 한계점을 알아보고자 했다. Ⅴ.장에서는 디지털미디어 꼴라쥬의 활용방안을 고찰 해보고자했다. 중학교 학생들이 많이 활용하는 사진, 컴퓨터, 비디오, TV, 핸드폰, 웹 을 이용한 체계적인 수업 안을 통해 현대미술에 나타난 디지털미디어 꼴라쥬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과정 안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학습자가 개성 있는 표현을 해보고 결과로 나타내봄으로서 현대 미술을 향유하며 능동적으로 접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꼴라쥬 프로그램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collage program in digital media era : centered on application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종화-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ong hw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예체능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교육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