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0

교육 연극을 활용한 시문학 지도방법 연구

Title
교육 연극을 활용한 시문학 지도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Poetry using an Educational Play
Author
임미경
Alternative Author(s)
Im, mi-kyung
Advisor(s)
이삼형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작품의 해석과 비평 활동을 강조하는 문학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텍스트로만 해석하여 시를 쪼개고 분석하는 방식으로 시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작품 해석의 일방적 전달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능동적인 감상을 하는 것이 문학 수업의 방향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시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았다. 모형의 단계는 1. 학습 목표와 텍스트 선정, 2. 학습 환경 조성하기, 3. 시 낭독하기, 4. 자유롭게 쓰기, 5. 시 연행하기, 6. 시 표현하기, 7. 모둠별로 발표하기 이다. 각 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교육 연극 기법을 시 수업의 ‘활동’으로 이용했다. 화자의 상황과 시의 이미지를 체화하는 활동으로 정지장면(tableau), 역할극(Role-play), 동작극(Moving image), 극중 인물과의 대화(hot seating), 빈 의자 기법(empty chair)을 이용했다. 마지막으로 이 모형을 김현승의 「지각」을 텍스트로 한 시 수업에 적용해보고 그 교육적 가능성과 효용성을 살펴보았다.; 7th education course has the literary tube which emphasizes the voluntary and active interpretation and critical activity regarding the literary work. But most of schools currently advance the poetry classes in the method which interprets, splits and analyzes the only poetic text. So the goal of literary class must become the active appreciation of the literary works escaping from unilateral delivery of their interpret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designed an educational model for poetry classes by using the play and applied the play to actual poetry classes. The model consists of 1. choosing an educational objective and a text, 2.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 3. reading a poem aloud, 4. writing freely, 5. performing poetic situation, 6. expressing poetic image and 7. announcing in groups In each stages, various techniques of the play were used of 'activities' of poetry classes. For activity giving a concrete form to the speaker's situation and poetic image, the following techniques : 'tableau', 'role-play', 'moving image', 'hot seating', 'empty chair' were used. Finally, I applied this model to a poem class with Hyun seung Kim's 'Perception' as a text and examined closely its educational feasibi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4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9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