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 0

초고층 주거시설 프로젝트에서의 거푸집생산성 예측 모델 개발

Title
초고층 주거시설 프로젝트에서의 거푸집생산성 예측 모델 개발
Other Titles
Developing Model for Estimating the Form-work Productivity in the Dwelling Skyscraper Project
Author
박용립
Alternative Author(s)
Park, Yong-Lib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과거 업무용 초고층 건축물에서 주상복합 등의 주거용 건축물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초고층 공사에서 공기 단축, 특히 지상층 골조공사의 기준층 층당공기 단축은 사업성 확보 측면에서 중요 요소로 작용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합한 거푸집의 선정 및 관리가 중요하다. 생산성 예측은 사용자가 새로운 건설프로젝트 추진 시 겪게 되는 의사결정 과정상에서 예측된 생산성 값에 기초하여 차기 프로젝트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에 의한 리스크 감소 및 새로운 프로젝트 추진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프로젝트 실시 이전에 체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시설 프로젝트 공사를 대상으로 구조체를 축조하는 공종 중 가장 긴 공종인 거푸집 공사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 모델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초고층 주거시설 프로젝트에서의 거푸집 공사의 합리화를 위한 연구로 현재 완공되었거나 공사가 진행중인 국내 40층 이상의 초고층 프로젝트 중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본 연구의 당위성과 목적을 서술한 후 그 연구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인 개념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초고층 건축공사의 특성을 파악해보며, 생산성의 정의 및 측정방법, 영향요인도출 방법, 예측모델 구축 방법, 생산성 영향요인들에 대해 국내·외 관련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모델 구축 대상지를 분석하였다. data 수집대상지들을 선정하고 대상지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여 초고층 주거시설 프로젝트에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거푸집 생산성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수집된 data를 바탕으로 신뢰성을 검증하고, 초고층 거푸집생산성과 상관관계가 높은 영향요인들을 선정하였다. 제5장은 도출된 영향요인들을 바탕으로 예측모델을 구축하며, 검증을 실시하여 모델을 평가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결론과 요약을 서술하였다.; Seoul is one of the city where the tall building is many in the world. Usually, structure of tall building is reinforced concrete or steel-reinforced concrete because of vibration and noise between story and story. However cycle time of story in Korea is longer than foreign construction durations. and long cycle time makes long total construction duration. Form work is time-spending work among structure works and has ability to improve productivity. So it needs to be under consider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ain effect factors in duration of form work for tall building in Korea. Evaluated main effect factors will contribute to estimate the productivity of the form work in the dwelling skyscraper project. decision tree analysis and neural network analysis are used for model to estimate the productivity of the form work in the dwelling skyscraper. This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systematic and reasonable estimate of form work productiv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61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6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K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건설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