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8 0

환경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요소의 설정과 평가

Title
환경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요소의 설정과 평가
Other Titles
The Establishment and Assessment of Planning Factors for Environment-friendly Urban Development
Author
김소진
Alternative Author(s)
Kim, So Jin
Advisor(s)
여홍구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내외적으로 소득증가에 따라 생활양식이 변화하면서 경제적인 풍요로움뿐만 아니라 환경, 문화 등 총체적인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환경문제는 개별 국가나 지역의 국지적인 문제가 아니라 전 지구적인 문제로 인식되면서 세계가 보편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의 도시계획은 20세기 도시계획의 문제를 기본적으로 해결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실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부차원의 공식적인 환경친화도시의 개념이나 세부계획이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환경친화도시와 일반 택지개발지구는 별다른 차이 없이 개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요소를 설정하고, 계획 초기단계부터 환경친화의 개념으로 개발된 11개 국민임대주택단지의 환경친화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경친화적인 도시개발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국내의 환경친화주거단지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요소는 ‘교통 및 통신’, ‘생태환경’, ‘에너지 및 자원’, ‘단지 및 건축’ ‘토지이용’ 분야 순으로 중요하다. 특히 ‘토지이용’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비전문가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나 비전문가 집단이 도시개발 시 환경친화적인 개발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개발지역 선정’, ‘접근성제고’, ‘보행 및 자전거 동선계획과 네트워크 구축’, ‘녹색교통시스템과 대중교통체계의 확립’, ‘대중교통에의 접근성’, ‘통신서비스망의 설치’, ‘에너지의 절약 및 효율적 이용’, ‘환경위해요소 처리’, ‘가정 폐기물 및 생활쓰레기의 최소화 및 재활용’, ‘그린네트워크 조성’, ‘다양한 녹지조성, 녹지공간률 증대’, ‘자연지형 이용, 미기후 조절, 일조·통풍을 고려한 배치’, ‘주변경관의 보존 및 수용’, ‘친환경건축자재 사용’을 주요 환경친화계획요소로 설정하였다. 셋째, 국민임대주택단지의 환경친화수준을 평가한 결과, 우수한 자연환경과 기간교통망이 잘 갖추어져 있어 환경친화적인 개발을 하는데 유리하며 도보권 내에 생활기초시설을 입지시켜 접근성이 양호하였다. 기존의 하천과 녹지 등 자연적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였고, 하천, 공원, 녹지를 연계하여 보행동선과 자전거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축하였다. 그러나 지구 내에 간선도로가 관통하고 있어 지구 전체의 보행동선과 생태환경요소들 간의 연계는 미흡하였다. 태양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였으나 지구 전체가 아니라 단독주택이나 공공시설 등에 한정적으로 적용하였다. 일조 및 통풍을 고려하여 주호를 남향 위주로 배치하였고 다양한 규모의 주택을 혼합하였으나 기존 지형을 그대로 보전하여 개발한 사례지구는 없었다. 넷째, 환경친화적인 도시개발을 위해서는 가시적인 계획요소의 적용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측면의 에너지 절약과 자원의 순환을 고려하여 진정한 의미의 환경친화도시를 실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정된 계획요소와 현 시점의 사례 대상지의 평가를 통해 국내의 환경친화적 도시개발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환경친화도시는 해당지역의 자연 및 인문환경 등 다양한 특성을 세부적으로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측면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역유형별 특성에 적합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설정에 대한 연구는 추후과제로 남는다.; We recognize the imperativ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settlements, which profoundly affects the daily lives and well-being of our peoples. Human beings are at the centre of concer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cluding adequate shelter for all and sustainable human settlements, and they are entitled to a healthy and productive life in harmony with nature. We recognize that access to safe and healthy shelter and basic services is essential to a person'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well-being and should be a fundamental part of our urgent actions for the more than one billion people without decent living conditions. Our objective is to achieve adequate shelter for all, especially the deprived urban and rural poor, through an enabling approach to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helter that is environmentally sound. The latest urban planning solves problems of 20th century urban planning basically and makes an effort to confront in the actuality which changes quickly. However, The official concepts or detailed plans of the environment-friendly city still were not formed. Because there is worry which could be developed without little difference between environment-friendly city and regular land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is to establish the planning factors for environment -friendly urban development and to assess the environmental standard of urban development in Korea by analy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concepts adopted at planning stage which is national rental hous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factors are carried out through analysis of written record and consciousness survey with experts and laymen. Differences in cognition for the importance between experts and laymen were analyzed by T-test. Finally, national rental housings adopted Environment -friendly planning concepts were analyzed in terms of 5 aspects.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nning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urban planning were important in the order of ‘movement and ubiquitous’, ‘ecological environment’,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housing complex and architecture’ and ‘land use’ aspect. Especially, laymen group gave higher score than experts group about factors of all expect land use aspect. So it means that laymen group considers the important side of environment-friendly when developing the city. Second, it was introduced total 14 principal planning factors in 5 aspects. The principal planning factors were selected each 9 factors from experts and laymen groups. But it was introduced 4 planning factors in common from 2 groups. Third, there is a greater concentration of public amenities-shops, schools, community and business facilities-around the streets and public spaces near the centre of the neighbourhood or district. It is good that from the planning stage environment-friendly design concepts were adopted and ecological resources, such as highlands, streams and marshes, were being conserved. But movement, ubiquitous, energy conservation and architecture showed little difference to regular land development. Also, these factors were not applied equally in all environment -friendly c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pply lasting energy economy and natural resources as well as visible factors for environment-friendly urban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research suggests the creation of a new plan that focuses on more efficient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city. However, there is a limit of application, because environment-friendly city must be considered detailed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ite. Therefore, the following studies need to establish concrete guidelines which are suitable in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47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8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