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 0

Career Planning이 경력정체지각에 미치는 영향

Title
Career Planning이 경력정체지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areer Planning on Career Plateau Perceptions
Author
이혜린
Alternative Author(s)
Lee, Hye-Rin
Advisor(s)
이문선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경력계획이 경력정체지각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규명하는 것이 목표이다. 최근의 연구흐름을 반영하여 Bardwick(1986)에 의해 제시되고, Milliman(1992), Davenprot & Russell(1994)에 의해 실증적으로 입증된 경력정체의 두 가지 유형, 즉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선행요인으로 개인수준에서 경력계획의 수립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써 조직의 지원의 효과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양대학교 MBA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Super(1957)의 경력단계이론에 따르면 경력성장(career growth)에 해당하는 안정기(stabilization)는 2년 이상부터 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소 2년 이상의 경력을 지니고 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인 경력계획과 경력정체지각 같은 개인의 경력에 대한 주관적인 태도는 업종이나 직종에 상관없이 형성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업종과 직종별로 골고루 분포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으며, 경력관리에 개인적으로 많은 관심을 지니고 있는 MBA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설문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직접 설문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08년 10월 27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2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146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에서 본 연구의 중요한 변수에 응답을 하지 않았거나 중심화 경향으로 인해 자료의 가치가 없는 설문지 4부를 제외하고 총 142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경력계획의 수립정도가 높은 구성원일수록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를 모두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신의 경력성공을 위해 적극적인 행동유형을 보임에 따라 조직 내 본인의 경력이동성을 높게 지각할 뿐 아니라 현 직무에 있어서도 정체감을 덜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경력계획은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인 내용적 경력정체지각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력계획의 수립정도는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를 모두 설명하지만 내용적 경력정체 지각을 더 많이 설명하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력계획과 경력정체지각 간에 조직의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계획과 경력정체지각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경력정체지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a hypothesis that career plans negatively affect career plateau perceptions.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pendent variables as the structural plateau and content plateau which are two types of career plateaus suggested by Bardwick (1986) and empirically proved by Milliman (1992), Davenprot & Russell (1994) to reflect the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as the degree of career plan establishment in the level of individual for the predisposing factor for those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effects of supports by organizations as the adjusting variable in such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MBA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Considering that the stage of stabilization equivalent to the career growth falls into a period of two years or longer according to the theory of career stage by Super (1957), this study attempted to carry out the research with employees working for companies at least with their work experience of two years or longer.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have the even distribution in both the business types and job classifications as the subjective attitude to an individual's career such as the career plan and career plateau perception as the objectives in the study is thought to be formed regardless of the business type or job classifi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carried out the research for MBA students with a great deal of personal interests in the career management who can sufficiently meet such conditions. This study applied the items of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approved with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the method to deliver the questionnaire directl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in about two weeks from 27 October to 8 November 2008. 146 copies were collected, of which 142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four copies either with no response to the important variable in this study or no value as any data because of the central tendency.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xtent of career plan establish a member has, the less both the structural and content plateau he or she feels. Accordingly, the study showed that the appearance of active behavioral pattern for the success of one's career makes oneself not only highly perceive one's career mobility in the organization but also less have a feeling of plateau even in the incumbent job. Second, the study revealed that career plans more affect the content plateau as part which can be controlled by an individual. Consequently, although the extent of career plan establish explains both the structural and content plateau, it can be said to explain the content plateau more. Third, there was no adjusting effect as a result of testing the adjusting effect of supports in the organization between career plans and career plateau perceptions. There seemed to have direct impacts between career plateau perceptions rather than to adju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plans and career plateau percept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31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5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