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5 0

간생검으로 진단된 지방간 중증도와 복부내장지방과의 연관성

Title
간생검으로 진단된 지방간 중증도와 복부내장지방과의 연관성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logic Degree of Fatty Liver and Visceral Fat
Author
조승철
Alternative Author(s)
Cho, Seung Chul
Advisor(s)
이동후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선진국에서와 마찬가지로 비만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다. 비만 특히 중심성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에 악영향을 미치며 지방간의 위험 요인이다. 지방간은 최근 복부초음파 검사로 주로 진단되지만 객관적이지 못하며, 간생검이 지방간의 진단에 가장 정확하나 침습적인 특성으로 인해 많이 시행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간생검을 받은 환자들의 지방간의 중증도와 복부비만 정도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에서 간생검을 시행 받은 환자 중에서 조직소견에 지방간 또는 지방변성이라고 진단된 환자를 선별하고 간생검 시행 전 1개월 이내에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명의 병리과 전문의에 의해 대상 환자의 간 조직을 재검토하여 지방간의 정도를 grade 0, 미세(minimal grade), 경도(grade 1), 중등도(grade 2), 고도(grade 3)로 판독하였다. 복부초음파나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지방간으로 진단되었으나 조직검사상 지방간의 증거가 없는 경우를 grade 0으로 분류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통해 복부지방(전체지방, 내장지방, 피하지방)의 면적을 측정하여 ㎠로 표시하였고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후향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성 및 검사실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는 총 47명이며 그 중 남자가 37명, 여자가 10명이었다. 조직검사 상 지방간의 중증도는 grade 0 7명, minimal grade 7명, grade 1 22명, grade 2 이상은 11명이었다. 지방간의 중증도에 따른 각 군 간에 평균연령, 체질량지수, 바이러스 간염의 동반여부, 알코올 과다 섭취여부, 이상지질혈증의 동반여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rade 0 군에 비해 grade 1 군에서 전체지방(163.87±84.41 vs 270.01±92.65, p=0.011), 내장지방(73.13±54.99 vs 145.16±66.81, p=0.003), 내장지방/전체지방(0.43±0.14 vs 0.52±0.10, p=0.038)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grade 2 이상의 군이 grade 0인 군보다 내장지방(73.13±54.99 vs 122.63±59.79, p=0.03), 내장지방/전체지방(0.43±0.14 vs 0.56±0.05, p=0.038)이 높았다. Minimal grade와 grade 2 이상의 군을 비교했을 때에는 내장지방/전체지방이 각각 0.49±0.05, 0.56±0.05 로 grade 2 이상의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22). 전체 지방에서 내장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grade 0 에서 grade 2 이상으로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높아졌는데(각각 0.43±0.14, 0.49±0.05, 0.52±0.10, 0.56±0.05), 이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Spearman coefficient, r=0.388). 결론: 본 연구에서는 복부비만, 특히 내장지방의 증가 소견과 조직검사상 지방간의 중증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비침습적인 영상 검사를 통하여 전체복부지방과 내장지방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지방간의 중증도를 예측하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valence of obesity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n Korea. Obesity, especially central obesity is not only associated with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but also a risk factor of fatty liver. Whereas abdominal ultrasound is widely used to detect hepatic steatosis, it is unable to provide a precise information of hepatic fat content. Liver biopsy is not frequently performed because of its invasive nature although it is accurat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logic degree of fatty liver and visceral fat. Forty seven patients with fatty liver or fatty metamorphosis in liver biopsy finding were enrolled. They were diagnosed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8.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was performed on all subjects within a month of liver biopsy. Biopsy specimens were reviewed by two pathologists. The degree of steatosis was graded as minimal, mild (grade 1), moderate (grade 2) and severe (grade 3). Grade 0 was defined when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fatty liver in biopsy specimen although they were diagnosed via imaging study (ultrasound or CT). Abdominal fat area (total fat, visceral fat, subcutaneous fat) were quantified using abdominal CT. Liver fat content in biopsy specimen was also estimated quantitatively by morphometric analysis. The grades of hepatic steatosis were 0 in 7, minimal in 7, mild in 22, and moderate to severe in 11 patients.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histologic degre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Visceral fat/total fat ratio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grades of steatosis (0.43±0.14, 0.49±0.05, 0.52±0.10, 0.56±0.05, respectively). The liver fat content measured by morphometry also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visceral fat/total fat ratio. Visceral fat, as a marker of central obesity,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histologic degree of hepatic steatosis. Measurement of abdominal fat area by CT will be clinically useful for prediction of histologic degree of fatty liv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21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7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