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 0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in Apartment
Author
김성연
Alternative Author(s)
Kim, Seong Yen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소득 및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에 대한 가치관도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 도시 주거형태의 주를 이루고 있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공동주택 공간 내에서 주민들 간의 교류를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더욱 풍요롭게 해 줄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질적인 욕구의 상승은 인간의 감성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 때문이며, 이는 모든 공간이 다양한 사용자의 감성에 맞추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특히 인간의 감성에 호소하는 커뮤니티 공간은 주민들 간의 소통 간격을 좁혀주는 교류의 공간으로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 대하여 자부심과 소속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가장 최근에 건설된 수도권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공간의 감성적 표현의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거주자들의 감성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감성적 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감성적 표현의 특성을 추출한 후 조사항목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현장방문을 통하여 조사대상 아파트 단지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위의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선정한 조사대상은 동탄1신도시에 위치하고 세대수가 500세대 이상 1000세대 미만이며 커뮤니티 공간이 단독형 건물로 건축된 아파트 단지 14곳이다. 조사 기간은 예비조사가 2008년 10월 3일, 본 조사가 2008년 10월 10일부터 2008년 10월 30일까지이다. 본 연구에서 감성적 표현의 특성을 공간의 기능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 공간에서는 자연의 이미지를 상징화하여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자신과 친구들의 작품으로 벽면을 장식하여 자신들의 공간임을 인식하게 하는 것은 타 공간에 대한 이질적인 느낌을 허물고 공간에 대해 친밀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공간에서는 노인의 심리적,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편안하고 친근한 느낌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침체된 심신에 활기를 불어 넣어주고 감성을 자극을 할 수 있다. 또한 자연 채광의 유입으로 공간의 분위기를 경쾌하게 조성해 주어 생동감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노인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실내 운동 공간에서는 그래픽, 이미지와 같은 다양한 시각적 시설물을 통하여 특정 공간을 부각시키고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계획함으로써 주민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이웃과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증가되며, 이 외에도 쾌적한 환경을 통하여 이용자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 주고 있었다. 넷째, 놀이 공간은 보행로와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공간에 대한 기대감을 줌으로써 감성을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이용자들의 신체적 안전을 고려함과 동시에 자유로운 공간체험을 느끼게 해주며, 독특한 형태를 통하여 유희적 기억을 자극시켜줌으로써 그 결과 조건반사적 체험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외 운동 공간은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실외 활동을 북돋아줌으로써 정서적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어 있었다. 실외 운동 공간들이 이용자들의 안전과 적응성을 고려한 공간으로 계획됨으로써 공간에 대한 친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삶의 활력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여섯째, 휴게 공간은 대부분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감성을 자극하고 있었다. 또한 휴게 공간에서는 이용자의 이동에 따라 공간에 대한 기대감을 부여하여 공간에 대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방향성을 유도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수도권의 경우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의 특성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커뮤니티 공간 이용자들의 욕구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면접이나 설문조사를 통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감성적 접근의 요구가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문화 공간, 여가 공간, DVD룸 등의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income and standard of life improved recently, so has changed the value of residence. Such changes are a conspicuous tendency shown in apartment houses that form the mainstream of Korean residenc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community space of the apartment house which increases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and quality of life. An rising desire for quality of life is due to the diversity of human emotion, and is indirectly indicates the fact that all the space should be set according to the emotion of various types of residents. Community space that appeals to human emotion, in particular, is the space that narrows down communication gaps between the residents. Through its development of community spirit, it can inspire pride and the sense of belonging among resi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space of apartment, to analyz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with recently constructed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as its subject, to indicate basic data that can fulfill the emotional demands of future residents. This research extract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n emotional space, draw up a survey checklist, and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by investigating on the apartment. The designated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located in Dongtan the first New Town, with 500 to 1000 households and constructed as single buildings for community space are 14 apartment. Examination period was scheduled as the preliminary examination on October 3rd, 2008, and the main examination from October 10th, 2008, to October 30th, 2008. The results analyzed with emotional characteristics divided by spatial func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 for day care planned for children’s emotional comfort and stability measured by symbolizing image of nature. Also, allowing children to recognize their own space by decorating the walls with the works of themselves and their friends was shown to break down extraneous feelings against other spaces, and allow intimacy for spaces. Second, the space for the aged was shown to give a secure and friendly feeling by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traits of the elderly. It can replenish the depressed bodies of aged people with vigor and stimulate their emotion. Furthermore, the influx of natural lighting creates a cheerful atmosphere to provide a lively space, acts as a factor that stimulates the emotion of the aged. Third, the space for indoor exercise utilized various visual facilities, such as graphics and images, to bring out specific areas and create affiliation in stimulating the emotion of residents. Through such measures, residents had an lively communications with neighbors. In addition, the pleasant environment provides resident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Fourth, the space for playground which connected continuously to the footpath gives anticipation to users and induces emotion. Even more, it was shown that the space considered users’ physical safety, allowed them to experience space liberally, and induce experiences of conditioned reflex stimulated by play memories through unique forms. Fifth, the outdoor exercise spaces planned as a space for mental satisfaction by gratifying the various desire for users and encouraged outdoor activities. Planned as a space considering the safety and adaptability for users, intimacy on the space can be promoted and energy in life also can be brought to user. Sixth, the most spaces for rest stimulated emotion by harmonizi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while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users. Also, the rest space induced direction to users by granting expectancy on space along the movement route, so that they can feel as if they were absorbed into the space. This research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shown in the community space of apartment houses in capital region of Korea. Nonetheless, follow-up research through interviews or surveys is required to analyze the demands of community space users in depth. In addition, more research is necessary on community space such as culture space, leisure space, and DVD rooms, where the demand for emotional approach is expected to increas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09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8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