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9 0

일본인 대학생의 한국영화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일본인 대학생의 한국영화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apanese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Behavior of Korean Movies : Focusing on consumption motivations and choices
Author
이수영
Alternative Author(s)
Lee, Soo Young
Advisor(s)
한동섭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영화 해외 수출의 가장 큰 무대가 되고 있는 일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영화의 일본진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수용자 입장에서 실증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한국영화 소비자들의 소비행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영화 소비행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동시에 일반적인 영화소비행동의 특성도 함께 분석함으로써 ‘한국영화소비’라는 특수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했다. 또한 조사대상자를 한국영화 소비 정도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영화 소비자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고자 했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조사대상자의 37% 정도가 한국영화를 소비하고 있었으며, 일본 내 10대와 20대의 젊은 소비자들이 한국영화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 우려와는 다르게, 대학생 집단과 같은 젊은 소비자들이 한국영화를 소비하는 새로운 소비층이 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영화가 일본 내 영화 장르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로맨스 물에 대한 영화소비 니즈를 충족시켜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영화 소비 동기는 ‘여가생활’, ‘한국 및 영화에 대한 정보추구’, ‘한국작품 자체’, ‘자아성찰’, ‘관계형성’ 5가지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 중에서 ‘여가생활’이 가장 중요한 동기가 되고 있었다. 넷째, 한국영화 선택기준으로 ‘영화 내용 및 줄거리’, ‘장르’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류 붐을 이끌어낸 몇몇 스타에만 국한된 영화 위주가 아닌 작품 네러티브에 대한 콘텐츠 개발이 요구 된다는 점을 시사했다. 다섯째, ‘텔레비전 광고’를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고, ‘극장 예고편’, ‘주변사람들’도 영향력이 있는 정보원이 되고 있어, 한국영화를 홍보하는데 있어 정보원 각각의 속성에 맞춘 다양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비디오 및 DVD’를 통한 영화소비가 가장 많고, 한국영화의 ‘극장’소비는 일반적인 영화의 경우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나, OSMU체계가 잘 정비되어있다고 평가되는 일본의 소비창구 시장에 대한 분석과 활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곱째, 소비정도가 높을수록 한국 및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에 의해 한국영화를 소비하고 있으며, 다양한 선택 기준을 고려하고,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소비창구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한국영화 수출과 관련된 연구들은 그 대부분이 유통과정 및 성과분석에 주목한 연구들이며, 아직 수용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아,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해외의 국내문화 수용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단서를 제공하고, 또한 일본이 한국영화 수출의 주요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한국영화 분야가 일본을 대상으로 한 주요 한류 문화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실무적 전략과 전망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consumption behavior of consumers in Japan, which is the biggest importer of Korean movies overseas, in order to test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Korean movies entering the Japanese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receiver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review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behavior regarding Korean movies and those of general consumption behavior of mov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ique nature of "consumption of Korean movies." By segmenting the subjects into small group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degree of Korean movies, I tried to promote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consumers of Korean movi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bout 37% of the subjects consumed a Korean movie. Contrary to the concern that the Japanese consumer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grew farther away from Korean movies, the young consumers including college students surfaced as a new consumer group of Korean movies. Second, Korean movies turned out to tackle a niche market of Japan's movie genres and met the Japanese consumers' needs for a romantic movie. Third, there were five motivations for the Japanese consumers to consume Korean movies, and they include "leisure life," "information about Korea and movies," "Korean movies themselves," "self-reflection"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Among them, "leisure life" was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 Fourth, they most considered "the content and story of a movie" and "genre" when choosing a Korean movie, which implies that the Korean movie industry should invest content development efforts in narrative instead of focusing on a few stars that contributed to the Korean Wave. Fifth, they most used "promotional ads on television" as the information source. Also influential information sources were "trailers" and "acquaintances." Thus it's required to set up divers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each information source in order to promote Korean movies. Sixth, the most consumption of Korean movies was in the form of "videos and DVDs." The Japanese moviegoers consumed less Korean movies in the "theater" than the movies of other countries. Thus the Korean movie industry needs to analyze and utilize Japan's consumption media market, which is judged to have a well-developed OSMU system. And finally, those who were consuming Korean movies to a great degree consumed Korean movies according to their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movies, took into account various selection criteria, made active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used a variety of consumption media.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xport of Korean movies usually covered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performance results. With a few studies on the perspective of receivers, the study can be labeled as an exploratory one. The study results will provide basic understandings and clues for the introduction of Korean culture to other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point out that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Japan even though it's one of the major importers of Korean movies, and offer useful data with which to develop practical strategies and prospects to help Korean movies take roots as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Korea's culture industry based on the Korean Wav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0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4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