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선-
dc.contributor.author방서원-
dc.date.accessioned2020-04-03T17:00:32Z-
dc.date.available2020-04-03T17:00:32Z-
dc.date.issued200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03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607en_US
dc.description.abstract여성에게 임신은 영양의 요구가 가장 많은 시기로 영양소의 적절한 섭취를 통해 증가된 대사와 생리작용에 적응하여 조산이나 유산 그리고 저체중아의 출산을 예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영양소 섭취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한국 임신부를 대상으로 올바른 영양섭취를 위한 식이지침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임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에는 설문, 식이기록 및 임신결과 데이터가 모두 있는 임신기간 20-36주 사이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 신체 계측치, 건강관련 생활습관, 영양소 섭취 등 정보를 수집하였다. 임신결과는 신생아 출생체중과 임신기간으로 병원의 의료기록을 통해 수집한 후 출생체중은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과체중군으로 구분하고 임신기간은 조사대상자들의 임신기간에 따라 하위 1군, 중위 2군, 상위 3군으로 분류한 후 임신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식이지침 제시는 임신부들의 평균 영양소 섭취량을 한국인영양섭취기준(KDRIs)과 비교하기 위해 설문과 임신결과 데이터의 유무에 상관없이 식이기록이 있는 임신부 4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에서 저체중군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가족 수가 유의하게 적었고(p<0.05) 신체 계측치에서는 저체중군이 과체중군보다 임신 중 체중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건강관련 생활습관에서는 출생체중 및 임신기간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이 없었다. 영양소 섭취와 출생체중에서는 식이섬유, 인, 철분, 비타민 B_(6), 엽산의 섭취가 저체중군보다 과체중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그러나 영양소 섭취와 임신기간 사이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임신부의 영양섭취 상태를 한국인영양섭취기준과 비교했을 때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슘, 철분, 칼륨, 엽산의 섭취량은 한국인영양섭취기준의 80% 미만이었고 열량, 단백질, 지방, 아연, 비타민 B₁, 비타민 B₂, 나이아신, 비타민 B_(6), 비타민 C의 섭취는 한국인영양섭취기준의 80-120%로 섭취 상태가 양호하였으며 인, 나트륨, 비타민 A, 비타민 E는 한국인영양섭취기준의 120% 이상 섭취하였다. 영양섭취 상태가 임신기간에는 큰 영향이 없었지만 출생체중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으므로 보다 나은 출생체중을 위해 임신부들의 충분한 영양소 섭취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와 다른 연구를 참고하여 임신부들의 영양섭취 및 식생활 정보 제공을 위한 식이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것은 임신부들의 질적인 영양섭취와 더 나은 임신결과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Balanced nutrient intake during pregnancy is very important to fetal and maternal healt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pregnancy outcomes and to suggest dietary guidelines. Two hundred thirty-four pregnant women of 20-36 weeks of gestation were recruited at two hospitals in Seoul area.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habits were obtained using questionnaires, and dietary intakes were estimated by 24 hour recall. Pregnancy outcomes were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was classified low birth weight group, normal birth weight group and high birth weight group. Gestational ag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of the subjects. Nutrient intake of 403 pregnant women was compared to KDRIs. Number of family members was significantly fewer in the low birth weight group than the normal birth weight group (p<0.05). In the low birth weight group, pregnancy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high birth weight group (p<0.05). Health related habi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y groups of the birth weight and the gestational age. Intakes of fiber, phosphorous, iron, vitamin B_(6) and folic acid in the high birth weigh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low birth weight group (p<0.05). The mean intakes of carbohydrate, fiber, calcium, iron, potassium and folic acid were under 80% of the KDRIs. The mean intakes of energy, protein, fat, zinc, vitamin B₁, vitamin B₂, niacin, vitamin B_(6) and vitamin C were 80-120% of the KDRIs and phosphorous, sodium, vitamin A and vitamin E intakes were exceeded 120% of the KDRIs. Gestational ag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nutrient intakes but birth weight were affected by nutrient intake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fore, balanced nutrient intake of pregnant women important for birth weight. Adequate intake of carbohydrate, fiber, calcium, iron, potassium and folic acid should be emphasized for pregnant women, whereas phosphorous, sodium, vitamin A and vitamin E should be monitored not to be exceed KDRIs in order to promote pregnancy outcom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중기 임신부의 임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및 식이지침 제안-
dc.title.alternativeFactors affecting pregnancy outcomes of second trimester pregnant women and suggest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pregnant wome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방서원-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ng, Seo-W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식품영양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식품영양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