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익상-
dc.contributor.author박지현-
dc.date.accessioned2020-04-02T17:09:26Z-
dc.date.available2020-04-02T17:09:26Z-
dc.date.issued2009-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32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923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문요지 최근 중국의 빠른 성장과 발전에 따른 언어교류의 확장으로 대량의 방언어휘가 표준중국어에 진입하였다. 본고는 학생들에게 좀 더 풍부한 어휘 재료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에 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표준중국어에 유입된 방언어휘를 연원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가장 공신력 있다고 판단되는 『現代漢語詞典』(第五版, 2005)을 기준으로 현대 중국어의 표준방언어휘를 정리하였는데, 총 2,217개의 어휘에 <方> 표기가 되어 있었다. 방언어휘가 어느 지역 방언에 속하는 지는 『漢語方言大詞典』(1998) 을 참고로 하여 수록한 단어 옆에 병기(倂記)하여 나타냈다. 본문에서는 위앤 지아후아(袁家&#39498; )의 7대 방언설에 근거하여 중국의 방언을 7대 방언으로 나누고, 표준중국어에 편입된 중국 방언어휘의 연원과 흡수과정을 알아보았는데, 각 지역 방언어휘는 사회 · 역사 · 경제 · 문화의 영향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흡수되었으며,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북부지역방언은 방언어휘 중 가장 기초가 되는 방언이며, 대부분 뻬이징방언(北京話)에서 왔다. 뻬이징방언(北京話)은 경제적으로 발전된 우방언이나 위에방언 지역에 비하여 외래어를 통한 신조어의 비율이 낮고,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사회 · 생활 어휘가 다수를 차지하는데 이것은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것으로 신조어가 우세한 우 · 위에 방언과 구분되는 점이다. 우방언에서 비롯된 신조어의 경우 경제적 중심인 상하이의 영향으로 외래어가 많고, 원래의 발음과 비교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경제의 발전에 따라 사회생활 변천에 따른 어휘도 다수 발견된다. 위에방언 어휘는 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표준중국어 어휘에 편입되기 시작하였는데, 홍콩의 일대지주 산업인 부동산 산업에서 상용되는 어휘, 대중매체의 발전에 따른 어휘가 주를 이룬다. 민방언도 타이완을 중심으로 홍콩과 함께 쓰이는 신조어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기초방언인 북부지역방언 뿐만 아니라 경제적, 문화적 혹은 정치적 면에서 점점 영향력을 확대해 가고 있는 우, 위에, 민방언 어휘가 방언음(方音)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표준중국어에 흡수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타 깐, 커지아, 시앙 방언은 대부분 농총 생활에 관련된 어휘로 그 비율이 높지 않으나 커지아 방언 지역이 진 · 한(秦漢) 이전에 백월(百越) 민족의 집단 거주지였기 때문에 고대위에방언(古代越語)의 기층 성분이 대량으로 발견되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 본 논문이 학습자에게 방언어휘의 학습을 도와 표준중국어로 나타낼 수 없는 표현을 보완해 주어 더욱 다채로운 의사소통의 기회를 마련하고, 각 지역의 사회 · 경제 · 문화 ·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길 바란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현대 표준중국어의 방언어휘 분석-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지현-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어문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중국어교육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