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 0

박물관을 활용한 중등 역사교육 방안 연구

Title
박물관을 활용한 중등 역사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hrough a museum
Author
김상옥
Alternative Author(s)
Kim, Sang Ok
Advisor(s)
이석규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역사 교육의 목적은 올바른 역사 지식의 효과적인 전달에 있다. 역사학자는 역사적 사실의 올바른 해석과 규명의 문제에 집중하고, 역사 교육학자는 그 결과물이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역사 교육자는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와 자료를 수업에 적용하고, 수업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왔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역사라는 과목은 학생들에게 지루하고 어려운 과목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대중에게 역사는 아직까지 흥미로운 영역이다. 대표적인 예가 박물관이다. 주말의 박물관은 물론이고, 평일의 박물관 역시 학생 단체 관람객들로 한가할 틈이 없다. 박물관은 그 어느 곳보다 '역사'와 가까운 공간이다. 그 공간을 채우는 것은 역사의 흔적인 유물들이며, 그 흔적들의 건재함을 대중과 미래에 전달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박물관이다. 가장 역사적인 건축물인 박물관이, 가장 역사를 기피하는 학생들에게는 인기가 높다. 이는 수험 과목으로서의 역사는 기피 대상이지만, 문화로서의 역사는 즐거운 생활 공간임을 알려준다. 이는 교육 소재로서의 역사는 흥미롭지만, 그 교수 방식과 소재에 따라 지루할 수도 즐거울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박물관은 지루한 역사 과목을 즐겁게 만드는 새로운 통로가 될 수 있다. 역사 학습 자료로서의 박물관은 다양한 유물과 전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즐거운 역사 체험을 도울 수 있다. 교육적으로는 실물기반학습이라는 특성을 통해 학습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이론학습에 비해 높은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비형식적 학습과 여가 활용에 동기를 부여하고,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한 교육적 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학교와 연계한 박물관 교육은 실물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합교육과정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새로운 면을 드러냄으로서, 학생과 학생, 교사와 학생간의 새로운 관계형성에 도움이 된다. 이렇게 맺어진 사회적 관계 안에서 학생의 예절학습이 가능하며, 지역사회 박물관의 연계를 통해 지역문화예술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추상적인 역사적 사고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역사 교육에 있어 박물관의 존재는 무척 중요하다. 박물관의 전시물은 직접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이며, 그것을 학습 자료로 활용할 때의 교육적 효과는 다른 학습 자료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절대적이다. 2008년 한 해 동안 국립박물관에서 진행한 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전체 259종의 프로그램이 2,717회 운영되었으며, 연간 43,477명이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교원 연수를 제외한 학생 대상의 순수한 학교연계 프로그램은 약 10%로 전체 교육프로그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 참여가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이 박물관별로 평균 2~3개에 그쳐, 프로그램 선택의 폭이 좁을 뿐 아니라, 참여 인원 자체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기의 편중으로 인해 학교 당국과의 효과적인 연계가 힘들다. 교육프로그램의 방학 편중은 수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박물관 교육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방학기간 동안 학교의 학생 장악력이 떨어짐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는 학생들의 자율 의지에 기댈 수밖에 없게 된다. 교육담당자 역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교육프로그램의 입안, 기획 및 집행 등 운영 전반을 담당하는 교육담당자가 중앙박물관을 제외하고는 많게는 10명, 적게는 2명에 불과했다. 가장 많은 인원을 보유한 중앙박물관 역시 대개 인턴 혹은 비정규직 형태의 불안정한 고용방식을 취하고 있다. 교사들의 현장에서의 역할이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도 있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은 존재하나, 직무 연수 중심의 1회성 행사에 그치고 있다. 이는 교사의 역할을 박물관 교육을 함께 진행할 파트너가 아닌, 교육대상으로만 인식하는 데서 오는 결과이다. 박물관과 연계한 역사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와 박물관 모두의 노력이 요구된다. 우선 학교 측에서는 교수의 주체인 교사들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박물관과 지속적인 협의 아래 학생 중심의 참여방안을 고민하고, 학교운영계획과 맞물린 프로그램 참여를 진행한다. 또한 시간과 예산이라는 현실적인 제약을 넘기 위한 학교 차원의 행정적 지원과 학교 연간 교육계획에의 반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박물관 차원에서는 근본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양적·질적 확충은 물론 다양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교육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그 방편으로 그간의 수동적인 프로그램 운영에서 탈피하여, 적극적으로 유물을 대여하고 방문하는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수적으로 부족한 전문 인력을 박물관 차원에서 뿐 아니라, 정책적인 차원에서 양성하여 교육 현장에 투입하여야 한다. 이 가운데 교수 전문가인 교사 인력풀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를 박물관 교육 전문가로 이용하고 박물관과 학교·교사간의 교류를 강화하여야 한다. 국내에서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이 학문적 차원에서 고려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 년 전의 일이다. 일찍부터 그 교육적 기능이 주목되어 공공기관으로서 지역사회에 자리 잡기 시작한 서구의 박물관과는 달리, 국내에서 박물관은 그저 수학여행의 코스, 수행평가의 대상으로만 존재해왔다. 그러나 역사의 전시 공간에 불과했던 박물관이, 이제 교육의 현장으로, 문화의 중심으로 다시 일어서고 있다. 교육학계를 중심으로 그 교육적 역할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으며, 연구 성과 역시 두터워지고 있다.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소비 주체인 대중의 발길도 박물관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현장에서는 이런 대중과 연구자의 기대를 채워줄 실제적인 움직임이 부족하다. 그나마 안정적인 운영 시스템과 재정 지원을 받는다는 국립 박물관도, 학교와 연계하여 진행하는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하다. 있더라도, 방학을 이용하거나 수험생을 위한 일회성 행사에 그치고 있다. 실제로 학기 중에 일상에서의 역사 수업과 접목되어 효과적인 학습의 지원군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찾아볼 수 없다. 그 이유를 짧은 학문적 역사에서도 찾을 수 있겠지만, 그보다는 입시 위주의 학교 교육과 전형적인 관료주의라는 한국적 현실이 더 중요한 원인이 아닐까 싶다. 이는 쉽게 깨어질 틀도, 마냥 기다릴 문제도 아니다.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 교육은 교육 수혜자인 학생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제도권 역사 교육의 현상을 타개할 새로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현장의 교사들과 교육담당자는 이 새로운 카드에 주목해야 한다. 역사를 알아가는 즐거움과 그것을 나누는 의미, 박물관은 역사 학습의 이 유쾌한 경험을 학생들과 공유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he effective delivery of knowledge of history. Historian focus on the correct interpretation and identify of the historical facts, and history educator focus on how to the results can be delivered effectively to the learners. To accomplish this task they apply a variety of tools and materials to class, and continue the research methodology. Despite their efforts, history is not only a subject needing memorizing but also tedious and difficult subjects. But the history is still an interesting area to the public. Museum is a typical example. Weekend, museum crowd students, friends and family. Also weekdays, museum crowd the student groups. In addition, the new education program is started, inquiries of participation increase. The museum is the closest space with history. There is filled artifact the evidence of history, and museum exist to deliver public and in the future. The museum of the most historical space is popular with students do not like the history. This situation tell us 'history as subjects' is to avoid, but 'history as culture' is a pleasant space. History as Training material is interesting, but depending on how to teaching can be boring or fun. Museum is a new pathway that tedious history can be fun. Museum as learning materials can help a good history experience for students through artifacts and exhibits a variety of programs.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based learning can be effective higher education by learning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s. Museum is motivated to take advantage of nonformal education and leisure, and could be utilized as a possible educational space for voluntary learning. Above all,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hrough a museum can increase the interest of learners through object-based learning and applied as the various integration courses. And will help shape a new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 students, teachers and students by representing a new aspect of students. Local culture and art through the museum's cooperation can promote. Specially, museum is very important space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abstract historical thinking. The museum exhibits is a direct and material proof, and as the educational effects of learning resources is absolute in comparison to photo and video materials Look at training programs conducted at the twelve National Museum in 2008, 259 species program was operating at 2,717. And 43,477 people were participating in education programs. But school programs for students of pure is about 10%. This is low percentage in the entire educational program. And because of the preponderance of the time, effective cooperation with school authorities is difficult. Also education personnel is lack. Except for the National Central Museum, education personnel were as many as 10 people, at least two people. Another problem is the role of teachers in the field is limited. To activate the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hrough a museum will require the efforts of both schools and museums. First, the role of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to give time and budget constraints, Administrative support of the school and the application of the Annual School Training Plan is required. In terms of museums, essentially education personnel suppor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learners through a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By the way, museum avoid in the operating manual to program and should be sought activation of the outreach program.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number of skilled workers, training should be in policy. Above all, to take advantage of a pool of expert teachers, teachers to use museum education experts and school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exchanges between museums and school. Educational functions and roles in the academic dimension of the museum began to be considered in only 10 years before in Korea. The museum's exhibition space in history, rise again now in the field of education, at the center of culture. The educational role of education for the academic expectations are rising, research is also grows. Heightened interest in the culture, Museum have led to a trail of the public culture consumption of the representative . But in the field, physical movement isn't enough to fill lack of public and researchers. The reason can be found in a short academic history. Rather, the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admissions based on a typical bureaucratic style reality is a more important cause of this problem. This is not easily broken, and waiting for the problem is not resolved. History Education through a museum could be a new solution for students ignored in mainstream history education. The scene of the teachers and education staff should pay attention to the new card. To know the fun and meaning of sharing the history, museum can be space to share this delightful experience of the learning of History for stud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30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4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