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1 0

집단표현예술치료가 고위험군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집단표현예술치료가 고위험군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roup Expressive Art Therapy on the High-Risk Children
Author
윤지혜
Alternative Author(s)
Youn, Ji Hei
Advisor(s)
이정숙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음악, 미술, 놀이치료 및 감정카드를 이용한 게임 치료로 구성된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고위험군 아동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의 사회성은 내적, 환경적, 사회기술능력의 요인으로 나누어 각각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나아가 고위험군 아동들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접근노력이 필요한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J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아동센터 방과 후 프로그램에 다니는 만 9, 10세, 초등 3, 4학년 아동들이다. 사전검사를 통해 사회성 낮은 아동들을 위주로 선별하였고 실험· 통제 집단은 각 6명이다. 24회기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아동들에게 한 회기 당 50분씩 4개월간 실시되었다. 이때 가족휴가, 소풍, 견학으로 다수가 빠질 때는 휴강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다음과 같다. 워밍업에서는 오르프 음악치료 기법으로 신체와 정서 이완을 주도하고, 본 활동에서는 미술과 놀이치료로 아동들의 자발성과 상호작용, 타인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공감하기에서는 54가지의 감정카드를 이용한 게임형식의 감정나누기를 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사전· 사후검사 변화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아동의 사회성 변화를 측정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아동이 지각한 자기보고식 사회성 척도와 사회지지지각척도,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사회성 척도이다. 또한 24회기의 프로그램 과정동안 집단역동과 상호작용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역아동센터 담당교사의 협조를 얻어 프로그램 외에서의 사회성 변화에 대한 행동관찰 사례분석을 통해 집단표현예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뒷받침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 통제집단간의 아동과 교사가 지각한 사회성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주었다.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된 아동의 사회성은 타인평가에 대한 인식증가, 협동력, 자기주장, 자아통제 능력 및 또래와 교사로부터의 지지지각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을 통해 성장한 아동의 내적 힘이 좋은 의사소통 능력과 사교성, 대인관계에서의 편안함과 즐거움 등으로 외현화 되어 나타나기까지는 이 연구 이상의 장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실험아동들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에서 사전· 사후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으나 회기별·개인별로는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변화를 보여 이 같은 결론을 뒷받침해준다. 셋째,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은 고위험군 아동들의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건강한 사회원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는 예방적 가치를 지닌다. 프로그램을 통해 고위험군 아동들은 자기표현과 자기인식의 기회를 가지고, 갈등해결에 따른 유능감을 통해 자존감이 향상되며,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 향상은 물론 신뢰와 성장에 대한 기대를 느끼게 되어 자신을 둘러싼 환경의 적응력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이 연구에서는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많은 위험요소에 노출된 고위험군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적인 치료방안이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각 아동들의 사례분석과 집단과정 질적 분석을 통해 실생활에서의 아동 사회성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the Group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game therapy using music, art, play therapy and emotion card, influences the sociability of high-risk children. A child’s ability to function in society was classified into internal, environmental and socio-technological ability factor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influence on sociability. There is also further study on what kind of approa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sociability of high-risk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9 and 10-year-old children in the third and fourth year in elementary school and who attend the after-school program of th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e J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in Gyeonggi-do. Using advanced tests, children with low social ability were selected. With six children in each test and control group, group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s were held 24 times to the test group children for four months, 50 minutes for each time. The programs were skipped whenever a major number of children is absent due to family holidays, picnics or field trips. The program begins with a warm-up stage by building up physical and emotional relationships through Orff music therapy. For the main activities, the children are given the chance to improve their spontaneity by increasing their mutual actions and understanding each other through art and music therapy. In the stage designed for winning sympathy, an emotion-sharing game is played using 54 emotion cards. This study measures the changes in the children’s social ability and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comparing their status before and after the tests, between the test group that attended th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attend the program. Measurements implemented in this study include the children’s own self-report sociability measure, social support perception measure and the children’s social ability measure as observed and recognized by the teacher. Also,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dynamics of the group, the children’s mutual actions and the changes in their social behaviors during the 24 program sessions. With the support and help of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is study also supported the effects of the group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through behavioral observation case analysis for changes insocial behavior outside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significantly demonstrates a positive difference in the social ability recognized by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between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hrough the program, the improved social behavior of the children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evaluation of others, collaboration, self-assertion, self-control ability and the support perception by the same age group and teachers. Second, in order for the children’s internal improvement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to be externalized into good conversation skills, comfortable and happ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 on, this study needs to further implement a long-term program. Aside from the non-significant increase level of the test group children, the positive change found in their actual lives support this conclusion. Third, the group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has a preventive value for high-risk children to grow as healthy social individuals despite going through several risk factors in life. Through the program, the high-risk children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recognize themselves, improve their confidence upon solving conflicts,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within their age group and teachers, and expect trust and growth for themselves, which also enhances their skill to adapt to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group expressive art therapy program is an effective therapeutic measure in improving the social ability of high-risk children that may be exposed to several risk factors. Furthermore,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each child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group,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children’s social behavior in actual life.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 of this program and its limits as well as propose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05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7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