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1 0

초등학생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 도구 개발

Title
초등학생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 도구 개발
Author
김진
Advisor(s)
정문희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초등학교 시기는 일생의 구강건강기반이 조성되고, 건강증진을 위한 여러 습관들이 바람직하게 형성되는 데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학생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구강보건교육과 함께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달특성이나 학교환경을 고려한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 개발에 목적이 있다. 도구 개발 과정은 2009년 3월 1일부터 4월 15일 사이에 문헌고찰, 심층면담, 설문조사를 병용하여 연구하였으며, 심층면담의 대상은 초등학생 4명, 부모와 담임선생님 각 4명씩 총 12명이었다. 본 조사 대상은 지역과 환경을 고려한 7개교의 초등학교 4,5,6학년 총 1,206명이었으며, 기타 교차타당도 검정을 위한 대상은 본 조사 대상과 인접한 지역의 서로 다른 초등학교 7개교의 4,5,6학년 총 1,16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6.0과 AMOS 4.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면담에서 추출된 초기 250개의 진술문은 문헌고찰과 전문가 협의를 거쳐 긍정ㆍ부정문이 혼용된 총 60문항을 5점 척도로 된 질문지 형태로 구성하였다. 둘째, 내용타당도를 거쳐 57문항이 선별되었고, 구성타당도는 KMO값이 .759로 나타나 요인분석 시행에 무리가 없었다. 다른 집단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의미하는 교차타당도는 적합도 지수인 카이제곱, CFI, TLI, RMSEA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검증하는 공인타당도는 피어슨 상관계수 .321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신뢰도 검증결과 각 영역별 반분신뢰도는 .65~.4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내적합치도인 Chronbach's alpha 값은 영역별로 .56~.80의 범위를 보여 비교적 양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검증되었으며,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 특성을 측정하기에 전반적으로 무리가 없었다. 5점 척도로 구조화된 이 도구는 총 30문항 7개 영역이었다. 각 영역별 문항 수는 치과치료 스트레스 4문항, 학교구강보건 4문항, 구강건강신념 5문항, 구강건강실천 6문항, 사회적 지지 4문항, 지각된 장애성 4문항, 지각된 유익성 3문항이었다. 이들 7개 요인은 전체변량의 총 46.05%를 설명하였다. 넷째,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은 150점 만점에 평균 98.04로 보통수준보다 높았다. 요인별 우선순위는 지각된 유익성이 가장 높았고, 치과치료 스트레스, 지각된 장애성, 구강건강신념, 사회적 지지, 구강건강실천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것은 학교구강보건 영역이었다. 다섯째,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치과치료 스트레스’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구강건강 신념, 구강건강실천, 학교구강보건, 사회적 지지, 지각된 유익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들 변인에 의한 설명력은 96%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본 연구의 도구는 초등학교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검증 되었으며, 초등학교 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세부 내용도 판별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양호한 척도가 될 것으로 본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건강하지 않은 생활양식을 가진 학생을 조기에 선별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으므로, 학교보건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과 교육적 의의도 클 것으로 본다. 핵심단어 :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 초등학생, 측정도구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9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8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EALTH SCIENCES(보건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