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 0

병영 BTL 이후 병영생활관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병영 BTL 이후 병영생활관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patial Change of Military Barracks through the Barracks Built Transfer Lease(BTL) System
Author
유충선
Alternative Author(s)
You Chung Sun
Advisor(s)
정인하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3년 국방설계기준 변경전까지 병영생활관은 군 표준도를 바탕으로 지형과 부대특성에 관계없이 전군 어디서나 동일한 형태의 건축물 이었다. 2003년 침대형 생활관의 도입은 전체적인 병영생활관 규모를 확대시켰고 이로인해 공간구성 방식에 있어 기존의 틀을 벗어나려는 시도를 했고 건물 형태도 좀 더 다양성해 졌다. 하지만 제한된 예산내에서 국방시설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제약으로 인해 기존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2006년 BTL 병영사업으로 계획된 병영생활관은 기존의 병영생활관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데 BTL 병영사업의 병영생활관 역시 기본적으로는 국방설계기준을 적용받지만, 경쟁입찰의 성격으로 설계부분에 대한 군의 승인절차가 없어지면서 기존의 틀을 벗어난 자유로운 설계를 이루었다. 지형을 고려한 건물배치부터 각 건물마다 차별화된 특성과 상징적 입면 장식, 자연친화적 설계로 옥상정원과 데크 등 새로운 공간의 도입, 사각형의 매스를 벗어난 원형 매스의 적용 등은 이전 병영생활관에서 볼 수 없던 혁신적 디자인이라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본 연구는 BTL 사업이후 병영생활관 공간구성 변화에 대해 파악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4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7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