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 0

海洋리조트 開發戰略에 관한 硏究

Title
海洋리조트 開發戰略에 관한 硏究
Author
김원
Advisor(s)
조성민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의 레저스포츠 활동은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생활 속에 정신적 풍요와 여유 있는 생활의 실현이 추구되어 삶의 질을 높이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여가의 형태도 단순히 머무르며 쉬는 것이 아니라 직접 체험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과학 기술의 발달로 바다가 지니는 여러 가지 위험과 제약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고 교동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해양으로의 접근성이 높아 졌다. 이러한 점을 가만할 때 해양관광산업은 미래지향적 신 성장 산업으로 고부가가치 유망사업이다. 현재 국민의 레저에 대한 요구도 더 이상 육지에만 머무르지 않고 지금까지 쉽게 접해보지 못한 해양레저를 요구하고 있으며 해양레저의 분야도 해수욕, 갯벌체험 등 단순한 관광성 레저에 식상함을 느끼어 동력을 사용하는 요트, 워터슬래드의 등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해양관광인프라가 부실하여 국민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해 해양레저나 골프 등 고부가가치 레저 활동을 즐기기 위하여 출국하는 내국인은 점점 늘어나는 한편 이를 위해 입국하는 외국인 관광객은 전무하다 싶은 실정이다. 2008년도에는 관광수입이 약 90억 달러이고, 관광 지출은 약 126억 달러로서 관광수지가 -36억 달러를 기록하는 관광수지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정부의 관광개발정책은 내륙지향형 관광개발에 치우쳐 왔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입지조건을 고려하여 각 지방자체들의 다양한 해양개발정책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해양개발에 노하우가 없어 난개발이 우려되고 국내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외국의 개발 방식을 무조건 적으로 따르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균형 있는 지역개발, 차별화 된 도시개발, 쾌적한 시설개발 등 복합적인 레저시설을 겸비한 해양리조트를 개발하여 지역 간의 연개개발을 통한 복합적인 관광단지를 구축, 지속가능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양리조트의 개발의 필요성은 앞에서 말한 국민의 레저요구 이외에도 국토의 균형적 발전, 고용발생과 개발로 인한 직 • 간접적 소득의 증대 등 많은 장점들이 있다. 현재 이러한 해양리조트를 개발을 활성화하는데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개발관련 법률의 복잡성, 정부의 지원정책 미흡, 사업부지 취득의 어려움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도출한 개발전략으로는 미분양 국가 산업용지 활용, 개발 주체자 와 지역 주민과의 유대강화,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한 자금조달 등의 방법이 있다. 개발에 있어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어야하는 부분도 있다. 해양리조트는 자연경관이 뛰어난 위치에 개발되는데 개발자체 부터 자연환경 파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개발을 위한 부지 취득과정에서 현지 원주민과의 여러 가지 마찰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개발 초기단계부터 환경보호에 초점을 맞춰 개발계획을 세워야하며 개발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동북아 경제의 중심 국가건설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실현하는 가운데 세계화, 지방화를 동시에 달성 할 수 있는 비전을 가지고 해양리조트 개발을 위한 절차상의 행정적 지원, 인프라 구축 등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동북아의 관광허브 전략과 국토의 균형적 발전이라는 과제를 이루어야 한다. 향후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체계적이면서 지속적인 개발노력이 이루어져 인간과 환경, 환경과 자연, 그리고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는 해양관광단지 개발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23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4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REAL ESTATE(부동산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