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0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노인의 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Title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노인의 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 to DN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s of the elderly
Author
안은희
Alternative Author(s)
An, Eun-Hee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노인의 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 간의 서술적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이용된 연구도구와 자료 수집은 다음과 같다. DNR에 대한 태도는 이미희(200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재(1974)가 번역한 Rosenberg Self-esteem Scale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하고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번역한 MSPSS척도를 사용하였다. 서울시 소재 2개소 공립병원에 내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215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6일부터 2009 10월 10일까지 직접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59.5%, 연령은 65-68세가 41.4%로 나타났다. 종교는 기독교가 31.2%, 학력은 국졸이 34.9%, 결혼상태는 기혼이 51.2%, 동거형태는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가 36.7%, 생활수준은 중이 47.4%,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52.1%로 가장 많았다. 또한 대상자의 52.1%는 DNR에 대해 생각해 본적이 있다고 하였고, DNR에 대한 적절한 설명 시기는 평상시 건강해서 의사표현을 할 수 있을 때가 39.1%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대다수는 주변지인이나 가족 중 DNR 경험이 없었고, 유언이나 DNR에 대해 가족과 대화를 해본 적이 없었으며, DNR에 대한 교육을 받기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DNR에 대한 태도는 1점에서 5점 범위에서 평균3.60±.83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10점에서 40점 범위에서 평균 31.31±4.26점이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12점에서 60점 범위에서 평균39.65±10.48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DNR에 대한 태도는 성별(t=3.523, p=.001), 종교(F=5.967, p=.000), 학력(F=6.903, p=.000), 생활수준(F=6.040, p=.0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DNR에 대해 생각해 본 적(t=8.904, p=.000)이 있는 경우, 주변 지인들 중 DNR 경험(t=5.171, p=.000)이 있는 경우, 가족 중 DNR 경험(t=3.833, p=.000)이 있는 경우, DNR에 대해 가족과 얘기해본 적(t=5.816, p=.000)이 있는 경우, 유언에 대해 가족과 대화를 해 본 적(t=4.343, p=.000)이 있는 경우, DNR에 대한 교육요구(t=5.918, p=.000)를 가진 경우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종교(F=3.623, p=.007), 학력(F=7.212, p=.000), 결혼상태(F=8.269, p=.000), 동거형태(F=6.655, p=.000), 생활수준(F=19.360, 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DNR에 대해 생각해 본 적(t=6.347, p=.000)이 있는 경우, 주변지인들 중 DNR 경험(t=3.837, p=.000)이 있는 경우, 가족 중 DNR 경험(t=2.186, p=.030)이 있는 경우, DNR 에 대해 가족과 얘기해본 적(t=4.606, p=.000)이 있는 경우, 유언에 대해 가족과 대화를 해 본 적(t=4.277, p=.000)이 있는 경우, DNR에 대한 교육요구(t=5.538, p=.000)를 가진 경우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종교(F=5.586, p=.000), 학력(F=10.368, p=.000), 결혼상태(F=17.181, p=.000), 동거형태(F=10.728, p=.000), 생활수준(F=21.820, 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DNR에 대해 생각해 본 적(t=4.404, p=.000)이 있는 경우, 주변지인들 중 DNR 경험(t=3.517, p=.001)이 있는 경우, DNR에 대해 가족과 얘기해본 적(t=2.197, p=.029)이 있는 경우, 유언에 대해 가족과 대화를 해 본 적(t=2.957, p=.003)이 있는 경우, DNR에 대한 교육요구(t=5.889, p=.000)를 가진 경우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DNR에 대한 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 DNR에 대한 태도와 자아존중감(r=.613, p=.00), DNR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지지(r=.505, p=.00),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r=.694, p=.00)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DNR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고, DNR에 대한 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 간에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DNR결정시 노인 자신의 의견이 존중되고,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낮은 노인에게 남아있는 노년기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보내며 품위 있고 편안하게 삶을 마감할 수 있도록 선진화된 복지 정책 마련과 개인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사회적 지지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나아가 본 연구를 기반으로, 첫째, 다양한 대상자들에서의 반복연구를 시행할 것, 둘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과 사회적 효과 연구가 요구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20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93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