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6 0

도시별(都市別) 재생공간의 비교 분석을 통한 공공디자인에 관한 고찰

Title
도시별(都市別) 재생공간의 비교 분석을 통한 공공디자인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Public Design of Revitalization Zon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Cities
Author
이승용
Advisor(s)
한정완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도시는 기능적인 편안함과 더불어 생태환경 및 경관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스카이라인 또한 디자인에 적극 활용하게 되었다.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된 대한민국은 도시의 이미지를 세계 선진 도시와 비교하여 손색없는 모습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많은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새로운 옷을 갈아입고 있는 중이다. 도시의 새로운 계획을 통한 재생 공간을 만드는 이유는 다양하다. 현대의 복잡한 도시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제적인 논리와 오늘날 선진 도시 사례에서 나타나는 문화 및 인간 중심적인 사고의 적용은 또 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그러므로 도시 재생 공간의 개선 방향에 관한 마스터플랜의 수립은 그 재생공간의 미래와 더 나아가 그 도시의 미래 비전에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 계획안에 의한 추진이 매우 중요하다. 도시마케팅 차원에서 그 재생 공간의 상징 표지물이 될 수 있는 랜드 마크의 건축물은 그 도시의 개성을 나타내어 주며 더 나아가 그 도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도시 구축 이미지임에 틀림없다. 파리의 에펠탑, 호주 시드니의 오페라 하우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가 그 대표적인 예이며, 이들은 그 도시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프랑스, 일본 그리고 한국의 재생공간을 비교 분석하여 도시별 재생사례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지역에 계획된 대표적 이미지인 랜드 마크 건축물이 재생 공간에 미치는 의미를 4개국 6개 지역과 6개 랜드 마크를 통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자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재생지역(Zone) 변화의 전후 모습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변화 후 지역의 모습과 그 지역 랜드 마크 건축물에 관하여 표적집단면접법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평가지표어(語)를 10개 추출하여 리커드 7점 척도(Likert scale)로 공공디자인을 수준별 그룹(상⋅ 중⋅ 하)으로 나누어 랜드마크 이미지 언어가 갖고 있는 가치와 그 재생지역의 다른 요소들이 가지는 가치를 알아보기 위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재생공간과 랜드마크 사이의 시각적 차이(gap)에 따른 디자인 요소 및 선호하는 디자인 이미지들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여 성공적 랜드마크 개발과 재생공간 디자인 개발에 반영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재생 공간의 기본계획 속에 전략적으로 계획된 랜드마크 건축물 디자인과 그 랜드마크 건축물의 단순한 디자인 이미지외적인 요소를 도시 재생 사업에 적용하여 도시 및 국가 이미지와 정체성에 접목할 수 있도록 한 공공디자인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우리나라 재생공간 디자인 계획 수립 시 랜드마크 건축물과 재생지역 공공디자인의 문화적 개념을 접목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로 사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16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35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