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 자궁 질환으로 자궁적출술을 결정한 여성의 갈등에 관한 연구

Title
양성 자궁 질환으로 자궁적출술을 결정한 여성의 갈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Decisional Conflict of Women who had Hysterectomy by Benign Uterine Disease
Author
김오경
Alternative Author(s)
Kim, Oh Kyoung
Advisor(s)
유은광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자궁적출술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히 시행되는 부인과 수술로 여성은 양성 자궁 질환의 치료법으로 자궁적출술을 결정하게 될 때 갈등을 겪게 된다. 따라서 국내 여성의 자궁적출술 시 의사결정 갈등 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여성의 의사결정을 이해하고 의사결정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으며 서울 소재 1개 종합병원에서 양성 자궁 질환으로 자궁적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EMR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O'Connor(1995)가 개발한 의사결정 갈등 척도를 Sun 등(2006)이 번역, 사용한 도구를 참고하여 자궁적출술에 맞는 용어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5.73세로 나타났으며, 진단명은 자궁의 평활근종이 95%로 가장 많았다. 자궁 질환의 발견경위는 신체적 증상이 있어서 57.6%,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한 경우가 42%로 나타났다. 둘째, 자궁적출술을 결정하게 된 모든 계기를 우선순위로 나누었을 때 ‘의사의 권유로’가 첫 번째 순위인 경우는 69%,‘자신의 의지로’가 첫 번째 순위인 경우는 21%로 ‘의사의 권유’가 자궁적출술 결정의 1순위였다. 셋째, 자궁적출술 결정에 대한 의사결정 갈등의 총 평균 점수는 5점 중 2.77이었으며 대상자들은 자궁적출술 결정 시 갈등으로 결정을 머뭇거렸음을 나타내었다. 영역별 갈등 정도는 정보 획득의 갈등이 3.0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결정에 대한 확신의 갈등 2.95, 가치의 명백성에 대한 갈등 2.93, 결정 시 주변의 지지 정도에 대한 갈등 2.61, 결정 과정에서의 유효성에 대한 갈등 2.42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30~39세의 갈등 점수는 2.47, 40~49세 2.74, 50세 이상은 3.03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F=4.973, p=.009) 이를 사후 검정한 결과 50세 이상의 여성이 30~39세의 여성보다 높은 갈등 점수를 나타내었다. 폐경 예상 기간이 5년 이내인 경우 갈등 점수는 2.87, 6년 이상인 경우 2.63으로, 5년 이내인 경우의 의사결정 갈등 정도가 6년 이상인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257, p=.026). 실제 수술방법이 변경된 경우의 갈등 점수는 3.05, 변경되지 않은 경우의 갈등 점수는 2.73으로 실제 수술방법이 변경된 경우의 갈등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1.994, p=.049). 가족력이 있는 경우의 갈등 점수는 2.72, 가족력이 없는 경우의 갈등 점수는 3.04로 가족력이 없는 경우 더 높은 의사결정 갈등을 나타내었다(t=-2.126, p=.036). 다섯째, 자궁적출술 결정 계기에서 ‘자신의 의지’가 1순위인 경우와 ‘의사의 권유’가 1순위인 대상을 비교하였을 때, ‘자신의 의지’에서 2.58, ‘의사의 권유로’가 2.85로 의사의 권유로 자궁적출술을 결정하였을 때 유의하게 높은 의사결정 갈등을 나타내었다(t=2.006, p=.048). 결론적으로 양성 자궁 질환으로 자궁적출술을 결정한 경우에도 여성의 갈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갈등을 조절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자궁적출술에 관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 의사의 권유로 선택한 경우 갈등 정도가 높았으므로 여성이 스스로 충분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안내해주고 또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여성이 스스로 잘 판단하고 결정과정에 적극적으로 함께 참여하며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Hysterectomy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benign uterine disease. Most women had experienced conflict when they made a decision to have a hysterectomy. This research aims to help understanding of their decision-making and supporting their decision-making by examining the degree of decisional conflict when they are required taking hysterectomy and relevant factor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1st June to 31st August, 2009. The subjects were 100 hospitalized 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who were required to take the surgery of hysterectomy for benign uterine disease. Thi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EMR. Decisional Conflict Scale(DCS) developed by O'Connor(1995), translated by Sun et al (2006) and revised by this researcher was used as a research tool. SPSS/PC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women was 45.73 and 95% was diagnosed as leiomyoma. For the route of finding the disease, ‘physical symptom and signs of the disease’ were 57.6% and ‘by chance during medical examination ’was 42%. 2. For the motive to make a decision for hysterectomy, ‘doctor’s recommendation’was the first rank and ‘self-will’was the second. 3. Total mean score for DCS was 2.77/5. It indicates that women hesitated to decide hysterectomy for benign disease. Mean scores per each subcategory were: the conflict on‘obtaining information’was 3.07, ‘certainty of their decision’2.95 point, ‘clarification of the value’2.93 point, ‘degree of support by others’ 2.61, and‘effectiveness of decision making process’2.42. 4. The influencing factors on DCS were age(F=4.973, p=.009), the period of expected menopause(t=2.257, p=.026), changed surgical method(t=-1.994, p=.049), family history(t=-2.126, p=.036) and motive to decide hysterectomy((t=2.006, p=.048). In the group of ‘over 50 years old of age’ than ‘30 to 39 years’, ‘within 5 years of the period of expected menopause’; ‘the changed surgical method’; ‘no family history’; and ‘by doctor’s recommendation’, the degree of DC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clusion, more sensitive nursing intervention, which helps women decreasing the degree of the conflict when they decide the hysterectomy as a treatment method for their benign uterine disease, is required. Especially the intervention to enhance the women’s intelligence with adequate and sufficient information, autonomy with assertivenes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in the choice of treatment methods for their own body and for their own health actively with whole life cyclic and wholistic health oriented perspective rather than disease-treatment oriented perspective on health should be devlop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28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22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