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9 0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를 위한 컴퓨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를 위한 컴퓨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Computer-tailored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 of total hip replacement
Author
정여원
Alternative Author(s)
Jeong, Yeo Won
Advisor(s)
김정아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Bandura(1992)의 자기효능이론을 토대로 하여,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을 높일 수 있는 웹 기반 컴퓨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즉, 개인의 건강문제 및 특성을 고려하여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수술 전• 후 간호, 수술 후 운동, 재활 및 일상생활 주의사항 등의 수술 관련 지식을 제공하여 환자가 수술 후 건강하게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컴퓨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Brenda(2001)등이 제시한 tailored, Multimedia, Computer-based Intervention program을 수정• 보완하여 총 다섯 단계 를 통해 최종 완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단계는 프로그램 컨텐츠 선정 및 개발 단계로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 요구도 조사 및 프로그램의 총 6개의 하부영역 및 각 하부 영역의 컨텐츠와 맞춤형 정보의 범위와 주제, 깊이 및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질문들과 그 질문에 대한 가능한 응답을 도출하였다. 컨텐츠에 대한 내용 타당도는 일차 정형외과 교수 2 인과 정형외과 병동 간호사 7인, 간호학과 교수 3인으로 구성된 임상 전문가 집단에 의해 검증되었고, 이후 일부 내용의 추가 및 수정이 이루어졌다. 2. 2단계는 맞춤형 경로(Algorithm) 개발 단계로서 개인의 건강문제 및 특성에 따른 맞춤형 중재를 적용하기 위하여 전 단계에서 개발된 컨텐츠의 세부질문과 예상 응답에 따라 연결되어야 할 컨텐츠와 그 방향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 ‘if-then’ 진술문의 집합으로 구성된 알고리즘(algorithm)을 작성하였다. 컨텐츠의 세부질문과 예상 응답의 알고리즘은 정형외과 교수 2인, 정형외과 병동 간호사 2인, 간호학과 교수 1인의 의견을 통합• 수정하여 완성되었다. 3. 3단계는 프로그램 제작 단계로서 고관절 전치환술의 주요 대상연령층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화면으로 설계하였으며 전문 웹 프로그램 개발자의 도움을 얻어 http://throp1.hosting.paran.com에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4. 4단계는 전문가평가 단계로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7)의 ‘교육용 컨텐츠 품질 인증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CyberBee(2002)에서 제공하는 ‘Cyberguide Ratings for Content evaluation’과 ‘Cyberguide Ratings for Web Site Design’을 본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게 웹 컨텐츠 영역과 웹 디자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정• 보완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정형외과 의사 1인과 정형외과 병동 간호사 3인 그리고 간호학과 교수 3인이 웹 컨텐츠 영역을, 웹 프로그램 개발자 4인과 교육 공학 전공 연구원 1인이 웹 디자인 영역을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6.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등의 서술통계를 활용하였으며 각 영역 별 비교를 위하여 각 하부영역 별 총점을 문항수로 나눈 평균평점을 이용하여 각 항목들간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5. 전문가 평가 결과 웹 컨텐츠 영역에서 사이트의 첫인상이(2.00±0.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제공자(1.91±0.16), 정보의 질 (1.81±0.14), 정보의 최신성(1.71±0.30) 그리고 심화 정보 (1.71±0.27) 순으로 나타났다. 웹 사이트 등급에 대한 평가는 전문가 7인 중 1명을 제외한 6인 모두 매우 유용하며 권장할 만한 사이트이다라고 응답하였고 1명은 향후 참고해 볼 수 있는 정도의 사이트라고 응답했다. 6. 전문가 평가 결과 웹 디자인 영역에서는 탐색의 용이(1.73±0.35) 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속도(1.60±0.55), 심화정보의 활용 가능성 (1.50±0.35), 홈페이지 (1.42±0.14), 저작권 (1.40±0.35), 멀티미디어 사용(1.38±0.48), 브라우저 호환성(1.33±0.58), 내용제시 (1.30±0.57), 최신성(1.00±0.00) 순으로 나타났다. 웹 사이트 등급에 대한 평가는 전문가 5인 모두 사이트는 유용하나 디자인 면에서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7. 5단계는 프로그램 수정• 보완 및 최종 완성 단계로서 전문가 평가를 근거로 프로그램의 심미적 개선, ‘유용한 사이트 모음’내 외부 링크 사이트 추가 및 ‘병원 찾기’ 항목 신설, 프로그램 목표 수정, 사이트 운영자 전화번호 삽입, 팝업창 축소, 설문조사 화면의 데이터 필터링 실시, 오타 수정 등의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를 위한 컴퓨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를 위한 컴퓨터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은 개인의 건강상태 및 특성에 기인한 맞춤형 정보를 주요 연령층을 고려한 애니메이션, 동영상과 플래쉬 등을 삽입하여 제작하였으며, 전문가 평가를 통해 그 내용이나 구성 측면에서의 유용성을 사전 검증 받았다. 향후 연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직접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28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83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