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0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조리사 자격증 보유 여부에 따른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 평가

Title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조리사 자격증 보유 여부에 따른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 평가
Other Titles
Sanitary knowledge and management evaluation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according to presence of cook certificate.
Author
김가연
Alternative Author(s)
Kim, ga youn
Advisor(s)
엄애선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조리사 자격증 보유 여부에 따른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 평가 본 연구는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학교급식 생산 에 종사하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조리사 자격증 보유 여부에 따른 위 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을 평가하여 위생관리업무 수행수준의 향상 을 도모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위생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초등 및 중학교에 종사하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위생지식, 위생관리 수행도, 조리종사자 일반사항, 위생교육 현황 및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은 식중독 관리, 개인 위생, 조리 및 전처리 단계에 따른 위생, 식재료 보관 및 보존식, 기구 및 기기의 위생 등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고, 위생관리 수행도는 개인 위생, 식재료 관리, 조리공정 및 온도관리, 기구 및 기기 위생관리, 청소관리 등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고,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법을 이용하여 기입하게 하였다. 위생교육 현황 및 인식도는 위생교육 횟수, 위생교육 필요성, 실제 작업시에 적용여부 등 총 7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기입하게 하였다. 조리사자격증 보유자 90부, 조리사자격증 미보유자 140부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sio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t-검정, ANOVA, 교차분석(x²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일반사항을 살펴보면 40-49세가 58.9%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최종학력은 고졸이 상이 87.8%를 차지하였다. 조리종사자들의 근무학교는 초등학교가 65.6%, 중학교가 34.4%로 나타났고,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30%, 계약 직의 경우 70% 로 조사되었다. 근무경력은 3년 미만과 2년 미만이 56.6%로 조사되었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의 경우 연령 대를 보면 40대가 57.9%를 차지하였으며, 최종학력은 고졸 이상이 75%를 차지하였으며 근무학교는 초등학교 56.4%, 중학교 43.6%로 조 사되었다.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28.6%, 계약직이 71.4%로 조사되었 다. 근무경력은 3년 미만과 2년 미만이 70%를 차지하였다. 2.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을 5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위생지식 총점은 70.88점/100점으로 저조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분석결과 개인위생 영역이 16.11점/20점, 식중독 관리 영역이 16점 /20점, 조리 및 전처리 단계에 따른 위생 영역이 22.88점/30점, 식 재료 보관 및 보존식 영역이 8.66점/20점, 기구 및 기기의 위생 영 역이 7.22점/10점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 대상 연구 결과에서도 전체 지식점수는 72.92점/100점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위생 영역이 13.92점/20점, 식중독 관리 영역이 17.07점/20점, 조리 및 전처리 단계에 따른 위생영역이 23.21점/30 점, 식재료 보관 및 보존식 영역이 10.07점/20점, 기구 및 기기의 위생 영역이 8.64점/10점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을 5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 한 결과 위생지식 총점은 보유자의 경우 70.88/100점으로 나타났으며, 미보유자는 72.92점/100점으로 나타나 두 집단 모두 지 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3.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 수행도를 5개 항목으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개인위생 영역이 4.81점/5점, 식재료 관리 영역 이 4.75점/5점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구 및 기기 위 생관리 영역의 경우 4.32점/5점으로 나타났다. 조리공정 및 온도관 리 영역은 4.67점/5점, 청소관리 영역은 4.34점/5점 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 대상 연구 결과에서도 개인위생 영역이 4.67점/5점, 식재료 관리 영역이 4.49점/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구 및 기기 위생 관리 영역의 경우 3.84/5점으로 나타났다. 조리 공정 및 온도관리 영역은 4.35점/5점, 청소관리 영역은 3.96점/5점 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보유 집단의 전체평균은 4.58점/5점으로 나 타났으며, 미보유 집단의 전체평균은 4.26점/5점으로 나타나서 모든 영역에서 보유자 집단의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위생교육 현황 및 인식도에 대한 분석 결과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 리종사자 대상의 경우 위생교육 경험 횟수가 1개월에 1회가 66.7% 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위생교육의 필요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가 70%로 가장 많은 응답율을 나타내었으며, 위생교육의 내용을 실제 작업시에 적용 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항상 적용한 다는 응답이 48.9%로 나타났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 의 경우 위생교육 경험 횟수가 1개월에 1회가 86.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위생교육의 필요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62.1%로 높은 비율을 보여주었으며, 위생교육의 내용을 실제 작업시에 적용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항상 적용한다는 응 답이 36.4%로 나타났다. 5. 조리사 자격증 보유자와 미보유자를 대상으로 위생교육 후에 잘못되 었던 작업방법이나 습관을 개선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 결과 많다는 응답이 6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가 개선한 경험은 많다는 응답이 70%로 나타났 다. 두 집단 모두 위생교육 후에 잘못된 습관을 개선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조리사 자격증 보유와 미보유 조리종사자들이 위생교육에서 교육받 은 내용을 실제로 작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경우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 해서 습관적인 관행 이라는 응답이 56.7%으로 나타났다. 조리사 자 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의 경우 습관적인 관행이 73.2%로 가장 많 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리사자격증 보유자와 미보유자 모두 교육 받은 내용을 실제로 작업에 작용하기 어려운 이유가 습관적인 관행 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 문 요 지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조리사 자격증 보유 여부에 따른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 평가 본 연구는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학교급식 생산 에 종사하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조리사 자격증 보유 여부에 따른 위 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을 평가하여 위생관리업무 수행수준의 향상 을 도모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위생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초등 및 중학교에 종사하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위생지식, 위생관리 수행도, 조리종사자 일반사항, 위생교육 현황 및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은 식중독 관리, 개인 위생, 조리 및 전처리 단계에 따른 위생, 식재료 보관 및 보존식, 기구 및 기기의 위생 등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고, 위생관리 수행도는 개인 위생, 식재료 관리, 조리공정 및 온도관리, 기구 및 기기 위생관리, 청소관리 등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고,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법을 이용하여 기입하게 하였다. 위생교육 현황 및 인식도는 위생교육 횟수, 위생교육 필요성, 실제 작업시에 적용여부 등 총 7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기입하게 하였다. 조리사자격증 보유자 90부, 조리사자격증 미보유자 140부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sio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t-검정, ANOVA, 교차분석(x²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일반사항을 살펴보면 40-49세가 58.9%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최종학력은 고졸이 상이 87.8%를 차지하였다. 조리종사자들의 근무학교는 초등학교가 65.6%, 중학교가 34.4%로 나타났고,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30%, 계약 직의 경우 70% 로 조사되었다. 근무경력은 3년 미만과 2년 미만이 56.6%로 조사되었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의 경우 연령 대를 보면 40대가 57.9%를 차지하였으며, 최종학력은 고졸 이상이 75%를 차지하였으며 근무학교는 초등학교 56.4%, 중학교 43.6%로 조 사되었다.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28.6%, 계약직이 71.4%로 조사되었 다. 근무경력은 3년 미만과 2년 미만이 70%를 차지하였다. 2.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을 5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위생지식 총점은 70.88점/100점으로 저조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분석결과 개인위생 영역이 16.11점/20점, 식중독 관리 영역이 16점 /20점, 조리 및 전처리 단계에 따른 위생 영역이 22.88점/30점, 식 재료 보관 및 보존식 영역이 8.66점/20점, 기구 및 기기의 위생 영 역이 7.22점/10점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 대상 연구 결과에서도 전체 지식점수는 72.92점/100점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위생 영역이 13.92점/20점, 식중독 관리 영역이 17.07점/20점, 조리 및 전처리 단계에 따른 위생영역이 23.21점/30 점, 식재료 보관 및 보존식 영역이 10.07점/20점, 기구 및 기기의 위생 영역이 8.64점/10점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을 5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 한 결과 위생지식 총점은 보유자의 경우 70.88/100점으로 나타났으며, 미보유자는 72.92점/100점으로 나타나 두 집단 모두 지 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다. 3.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 수행도를 5개 항목으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개인위생 영역이 4.81점/5점, 식재료 관리 영역 이 4.75점/5점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구 및 기기 위 생관리 영역의 경우 4.32점/5점으로 나타났다. 조리공정 및 온도관 리 영역은 4.67점/5점, 청소관리 영역은 4.34점/5점 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 대상 연구 결과에서도 개인위생 영역이 4.67점/5점, 식재료 관리 영역이 4.49점/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구 및 기기 위생 관리 영역의 경우 3.84/5점으로 나타났다. 조리 공정 및 온도관리 영역은 4.35점/5점, 청소관리 영역은 3.96점/5점 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보유 집단의 전체평균은 4.58점/5점으로 나 타났으며, 미보유 집단의 전체평균은 4.26점/5점으로 나타나서 모든 영역에서 보유자 집단의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위생교육 현황 및 인식도에 대한 분석 결과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 리종사자 대상의 경우 위생교육 경험 횟수가 1개월에 1회가 66.7% 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위생교육의 필요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가 70%로 가장 많은 응답율을 나타내었으며, 위생교육의 내용을 실제 작업시에 적용 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항상 적용한 다는 응답이 48.9%로 나타났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 의 경우 위생교육 경험 횟수가 1개월에 1회가 86.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위생교육의 필요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62.1%로 높은 비율을 보여주었으며, 위생교육의 내용을 실제 작업시에 적용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항상 적용한다는 응 답이 36.4%로 나타났다. 5. 조리사 자격증 보유자와 미보유자를 대상으로 위생교육 후에 잘못되 었던 작업방법이나 습관을 개선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 결과 많다는 응답이 6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리사 자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가 개선한 경험은 많다는 응답이 70%로 나타났 다. 두 집단 모두 위생교육 후에 잘못된 습관을 개선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조리사 자격증 보유와 미보유 조리종사자들이 위생교육에서 교육받 은 내용을 실제로 작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 조리사 자격증 보유 조리종사자의 경우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 해서 습관적인 관행 이라는 응답이 56.7%으로 나타났다. 조리사 자 격증 미보유 조리종사자의 경우 습관적인 관행이 73.2%로 가장 많 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리사자격증 보유자와 미보유자 모두 교육 받은 내용을 실제로 작업에 작용하기 어려운 이유가 습관적인 관행 인 것으로 나타났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2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5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