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3 0

열-가압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과 전통적인 금속 도재관의 변연 적합도에 대한 비교 연구

Title
열-가압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과 전통적인 금속 도재관의 변연 적합도에 대한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ison of the marginal fit of a pressed ceramic fused to metal restoration versus feldspathic porcelain fused to metal restoration
Author
김윤영
Alternative Author(s)
Kim, Yoon-Young
Advisor(s)
이영수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개요 : 열-가압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이 소개되면서 이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평가 필요하게 되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금속 도재관과 열-가압을 이용한 금속-도재관의 변연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 상악 제1소구치 레진 치아를 교합면 2.0mm, 협, 설면 1.0mm 두께로 삭제하였으며, 변연 형태는 chamfer margin으로 그리고 축면 경사는 6도 taper로 삭제하였다. 삭제한 레진치를 복제하여 금속 다이 20개를 제작하였고, 이 금속 다이를 인상 채득하여 작업을 위한 석고 다이를 제작하였다. 금속 도재관과 PoM 시스템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금속 코핑을 각각 10개씩 총 20개를 제작하였으며,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변연 간격을 측정하였다. 도재 축성 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연 간격을 측정하였다. 통계 처리는 Wilcoxon Signed Ranks test와 Mann 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금속 도재관은 코핑 상태(64.93±12.48㎛)와 도재 축성 후(63.43±12.86㎛)의 변연 간격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PoM 시스템은 코핑 상태(50.00±12.28㎛)와 도재 축성 후(56.72±13.80㎛)의 변연 간격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금속 도재관과 PoM 시스템 변연 간격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전통적인 금속 도재관과 열-가압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의 변연 간격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94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2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