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3 0

돌발성 난청환자에서 전정기능의 평가

Title
돌발성 난청환자에서 전정기능의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vestibular function in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Author
박건
Alternative Author(s)
Park keon
Advisor(s)
이승환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돌발성 난청은 특별한 원인 없이 단시간 내에 갑자기 발생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환자의 약 30~40%에서 현훈을 동반하며 이 경우는 청력의 회복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돌발성 난청에 동반되는 현훈은 대부분 일시적이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어지러움의 양상이나 심한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워 객관적인 전정기능의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발병 후 일주일 이내에 외래 내원하여 일측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전정유발근전위검사 및 온도안진검사를 시행한 47명을 대상으로 그 결과와 임상증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예후와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초기 청력손상 정도와 청력도의 양상을 기준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였으며 주관적 어지러움의 동반여부와 2개월 후 평가한 청력 회복을 함께 분석하였다. 1. 청력의 소실이 심할수록, 저음역 난청형에 비해 고음역 난청형, 수평형 난청형 및 농형 난청형에서 전정유발근전위검사의 비정상 파형 및 파형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즉 청력 소실 단계에 따라 각각 비정상 파형의 비율이 44%, 67%, 86%, 90%, 81%로 증가하였으며, 저음역 난청형은 33%, 고음역 난청형은 89%, 수평형 난청형은 94%, 농형 난청형은 91%로 저음역 난청형에 비해 고음역 난청형, 수평형 난청형 및 농형 난청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3; p=0.002) 2. 청력 소실 정도에 따른 온도안진검사의 비정상 반응은 유의하지 않았다.(p=0.190) 그러나 청력도의 분류에 따른 온도안진검사의 비정상 반응의 비율은 저음역 난청형에 비해 고음역 난청형, 수평형 난청형 및 농형 난청형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비정상 반응이 관찰되었다.(p=0.046) 3. 초기 청력의 소실이 심할수록 어지럼증의 동반되는 경우가 많았고, 청력도의 분류에 따라서는 저음역 난청형, 고음역 난청형, 수평형 난청형에 비해서 농형 난청형에서 어지럼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현저히 많았다. 즉 어지럼증 동반 비율은 청력 소실 단계에 따라 각각 22%, 33%, 29%, 44%, 80%로 증가하였으며 저음역 난청형이 22%, 고음역 난청형이 22%, 수평형 난청형이 39%, 농형 난청형이 82%로 농형 난청형에서 어지럼증의 동반이 현저하였다. (p=0.017; p=0.006) 4. 어지럼증의 유무와 전정유발근전위검사와 온도안진검사의 비정상반응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104; p=0.292) 5. 두 가지 전정기능검사에서 모두 정상인 환자군에서는 완전 회복이 많았으나 두 가지 모두에서 비정상인 환자군에서는 불변 및 경도회복이 많아 청력회복이 좋지 않았다. (p=0.000; r=0.563) 본 연구의 결과 청력이 나쁠수록 전정기능의 이상소견이 많이 나타났고, 특히 고음역 난청환자에서 전정유발근전위의 이상 반응을 많이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온도안진검사 보다는 전정유발근전위 검사에서 전정기능 손상을 더 민감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정유발근전위검사 및 온도안진검사를 이용하여 돌발성 난청 환자의 전정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예후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ABSTRACT = Evaluation of vestibular function in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Keon Park Dep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About 30 percent to 40 percent of patients with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SSHL) have accompanying vertigo. The presence of vertigo was important prognosis factor in idiopathic SSHL. Because accompanying vertigo is mostly subjective and transient, it is har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 of dizziness and needed to get a objective vestibular function. The study was designed for 47 patients with unilateral idiopathic SSHL. We investigated that the results of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VEMP) testing and caloric testing was correlated with the symptom and prognosis in idiopathic SSHL with or without vertigo. Hearing loss level were calculated by averaging the pure-tone hearing level at 500Hz, 1000Hz, 2000Hz, and 3000Hz. Degree of initial hearing loss were categorized as mild, moderate, moderate-severe, severe, profound group. Type of initial audiograms were categorized as high- or low-tone hearing loss, flat type, and scale out type hearing loss. We identified VEMP and caloric responses in patients with idiopathic SSHL, analyzed the association of the VEMP and caloric findings with degree of hearing loss, type of audiogram, presence of vertigo and hearing recovery in two month.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bnormal VEMP and degree of hearing loss, type of audiogram(P=0.003, P=0.002). The more the hearing loss were severe, the more the rate of abnormal VEMP response(44%, 67%, 86%, 90%, 81%). Also high tone type(89%), flat type(94%), scale out type(91%) were abnormal finding more frequent than low tone type(4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bnormal caloric test and degree of hearing loss(p=0.190). Bu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bnormal caloric test and type of audiogram(p=0.006). High tone type(67%), flat type(56%), scale out type(64%) were abnormal finding frequent than low tone type(11%). The more the hearing loss were severe, the more the rate of vertigo patients were prevalent (P=0.017). Rate of vertigo patients correlates with type of audiogram(p=0.006).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ertigo patients and nonvertigo patients in VEMP and caloric test(p=0.104, p=0.292).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hearing recovery and vestibular dysfunction extent(P=0.000, r=0.563). Rate of complete recovery was more than Group 1, but rate of slight recovery and no improvement was more than Group 4. The more the hearing loss were severe, the more the rate of abnormal vestibular responses were frequent, especially abnormal VEMP responses in high tone hearing loss. Also evaluating of vestibular dysfunction, VEMP test was more sensitive than caloric test. Even if patients were not vertiginous, there were abnormal vestibular function test especially in VEMP test. Hearing recovery was poorer in patients with abnormal vestibular function. The combined use of VEMP and caloric tests is useful for evaluating vestibular involvement in idiopathic sudden SNHL. Objective vestibular function tests can be used as a prognostic indicator in idiopathic sudden SNH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9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00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