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 0

탄소배출량과 도시형태요소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탄소배출량과 도시형태요소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Patterns and Carbon Emission : For the Case of Seoul
Author
김인현
Alternative Author(s)
Inhyun Kim
Advisor(s)
오규식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화석연료이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은 전 지구적 기후변화인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온실가스는 경제활동에 의해 배출되고, 경제활동의 대부분은 공간적으로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차원에서의 대책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 기준 도시화율은 90.5%에 이르고 있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도시차원에서의 계획 및 설계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도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도시형태와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면, 향후 도시계획과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태와 탄소발생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탄소배출저감형 도시의 형태를 제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로 도시형태에 대한 이론고찰을 수행하여 도시공간의 물리적 규모, 이용현황, 활동강도와 관련된 도시형태요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서울시를 사례로 전력, 도시가스, 지역난방, 석유, 상수도 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지도를 작성하여 도시형태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공간에서 에너지 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도시형태를 밝혀내고, 도시계획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시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녹지와 수변 공간의 적극적 확충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가 필요하다. 도시공간에서 배출되는 에너지원이 겨울철 난방에너지 이용과 여름철 냉방을 위한 전력사용에 기인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판단하면, 열섬 및 냉섬 저감을 위해 일교차가 낮은 녹지대의 확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녹지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의 직접적인 흡수원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다. 둘째, 미기후를 고려한 도시설계가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이다. 바람길, 구릉, 수변환경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경우 탄소발생이 현저하게 적게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저탄소 친환경 교통수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부문의 변수와 이산화탄소 배출량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분석되었다. 현실적으로 도시활동에 필요한 통행을 억제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공용주차장 확충, 환승체계 개선, 자전거도로 확장 등과 같은 대중교통체계 개선을 통한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저감추진 외에 직접적인 배출원이 되는 차량을 친환경 연료 차량으로 점진적으로 대체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필요하다. 넷째, 지역별 특성에 기반한 이산화탄소 저감 대책이 필요하다. 서울시 전체지역과 생활권별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도시형태 요소와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고, 회귀분석에 의해서도 기여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토지이용별 에너지 이용측면에서도 주거와 상업업무지역이 다른 양상을 보였음을 감안하면, 지역특성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시형태 요소와 이산화탄소 배출량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에 기반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여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이고도 결과를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달성을 위해 향후 도시개발사업과 관리사업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5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9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