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7 0

창의성디자인교육을 위한 U-Space 디자인 제안에 관한연구

Title
창의성디자인교육을 위한 U-Space 디자인 제안에 관한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pace design for creativity education space
Author
신한나
Alternative Author(s)
ShinHanNa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 우리나라의 교육은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남과 똑같음을 탈피하여 다양함으로 자기만의 색을 가진 창의성 인재를 추구 하며, 그에 따라 우리의 교육현장도 자신만의 색을 찾게 할 수 있는 창의성교육으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런 교육은 예전의 공부만 잘하는 인재 보단 무한경쟁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교육 즉, 창의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창의성디자인교육을 위한 교육공간을 제안하고자 하며, 창의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해서 Ubiquitous의 환경을 함께 접목하여, U-SPACE교육환경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창의성 디자인교육과 U-SPACE의 이론 고찰과 국내ㆍ외 창의성 디자인교육 현황의 학습내용 및 환경의 U-SPACE을 분석한다. 본 사례를 위해서는 참여관찰법을 실행하였고, 사진촬영 및 동영상 촬영 그리고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 따른 행태를 분석하고,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U-SPACE를 대입하여 창의성 디자인 프로그램에 따른 디자인계획안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교육을 위하여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의 특성을 통해 디자인 교육의 일반화를 확립하며, 다양한 학문에 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며, 보다 넓은 사고를 쉽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 본 사례 조사를 통해 3가지의 학습 기능인“미적 체험, 연상기능, 감상영역”의 교육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시각+촉각을 통해 수업의 흥미를 유도하고 학습자들이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며,“언어연상, 감정표현, 표현력, 사고력”의 수업의 효과를 위해서는 시각+청각의 형태를 통해 내면의 감성적 측면을 이끌 수 있는 교육공간의 형태가 되어야한다. 마지막으로 “미적체험, 표현력, 관찰력”을 위해서는 촉각+청각의 자극적 공간이 되어 교육이 효과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창의적 디자인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육환경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디자인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변형, 인식, 가변성, 융통성, 투명성, 확장성이 다양하고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어야 창의성 교육프로그램을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U-SPACE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총 3가지 영역으로 U-SPACE을 제안하였다. 1)실내 공간적 측면은 프로그램에 따라 wall 영상 디스플레이로 시각적 청각적 촉각 요소를 만족할 수 있는 감성적 환경인 월 패드시스템을 구성하며, 디지털이모션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2)감각 기능적 측면은 시각, 촉각, 청각의 환경의 3D디스플레이 공간이 구성되며, 감성조명시스템과 창의력학습도구인 Roballet, GOGO Ballet, Workbench가 구비되어 첨단적 교육환경을 이루어 감각적 환경이 제공되게 된다. 3)행태적 측면은 책상 및 의자의 물리적 환경이 가변적 교육환경으로 이루어지며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자유로운 가변형태로 변화하며, LCD모니터와 전자책, 디지털 캔버스, I/O Brush을 통한 다양한 ubiquitous 교구를 통한 최상의 창의성 디자인교육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변형 가능한 U-SPACE가 도입 되어 보다 학습력을 증진 시키고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환경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 참여관찰법을 통해 디자인교육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디자인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을 이끌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 되어, 학습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학습자의 형태에 따라 공간이 디지털화된 프로그램에 따라 변화될 경우 수업의 효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수업은 7개의 대주제를 통해 공간의 환경을 3타입별로 공간형태를 제시였다. 1)혼자하기(미적체험, 연상기능, 감상영역)는 계단형식으로 블록을 만들어 프라이버시적 공간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2)소그룹으로 하기(언어와 연상, 감정표현, 표현력, 사고력)는 그룹 행태의 공간 블록을 가질 수 있다. 3)다같이 하기 (미적체험, 표현력, 관찰력)는 큰 넓은 하나의 블록 형태를 통해 공간의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블록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모듈화 시켜 수업에 따라 공간을 변형하여 창의적 디자인교육을 진행 할 수 있도록 블록의 형태로 제안 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 첫 시작인 디자인교육은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또한 Ubiquitous교육환경도 현 시점에서는 이르다고 사료되지만, 급격한 속도로 우리 사회도 변화함에 따라 앞으로 머지않아 U-SPACE를 적용한 교육공간은 구성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첫째: 현재 디자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디자인교육의 프로그램의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자인 교육의 장점을 최대한 연구하여 창의성디자인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며, 현 교육환경에 맞는 활용 프로그램이 연구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현재 우리나라의 교과로 디자인교육이 시행하되 있지만, 교육 전문인 양성은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디자인교육전문 교사를 양성하여, 일반교육으로서의 교육 확립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보다 디자인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따른 교구가 개발되어 가정에서도 디자인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system requires creative and innovative individuals, so it is natural that our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the one for creativity. In other words, our society demands to have creativity education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society rather than that fosters just good student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education sites for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grafting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onto the existing system to effectively enhance the creativity for U-SPACE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s are consideration on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U-Space theory and analysis on current state of internal and external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environment of U-SPACE. I used participant observation, photography, shooting filming an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behavior of education based on these method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to improve the creativity, I took advantage of U-SPACE and suggested a schedule for the creativity design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ame as below; First, this study universalizes design education for creativity improvement and suggests that it can be conflated into diverse studies through characteristics of design education. It expands the scope of thinking with easy and interesting ways. In order to establish new educational environment for 3 education functions, that is to say aesthetic experience, association function and appreciation, we need to arouse students' interests through senses of sight and touch and stimulate them. For the effect of education on word association, expression, expressive power and thinking skills, we need to formulate the proper educational spaces to lead the emotional aspects through senses of sight and hearing. For the one on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ve power and observation, we need to prepare the educational spaces for senses of touch and hearing so that it can be done effectively and naturally. Second, educational circumstance should be changed for effective creativity design education. Especially, transformation of spaces, awareness, variability, flexibility, transparency and expansibility should proceed freely for the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In other words, we should provide U-SPACE environment for the program and suggest 3 scopes of it. 1) For the aspect of interior spaces, we had better formulate digital emotion system through the Wall Pad system which provides wall image display which satisfies the senses of sight and hearing. 2) For the aspect of a faculty of sensation, 3D display spaces which handles senses of sight, touch and hearing are organized. The emotional lighting system and learning tool such as Roballet, GOGO Ballet, Workbench are equipped and it supplies sensa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up-to-date facilities. 3)For the aspect of behavior,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to flexible education one according to the programs and we can perform the highest creativity design education through ubiquitous tool with I/O Brush such as LCD monitors and e-book, digital canvas. Hence, U-SPACE must be applied into th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learning and creativity. Third, as a result of design education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t is essential that spaces should be arrang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program and have improvement effect. I figure out that the effect of learning advances when spaces are altered by digital programs depend on learners. 3 types of spaces are proposed for the class according to the 7 subjects. 1) Self-experience(aesthetic experience, association function, appreciation) needs individual spaces, making blocks in forms of staircase. 2)Small group activities(word association, expression, expressive power, observation) can have space blocks of group behavior. 3) Group activities(aesthetic experience, expressive power, observation) need possibility of expanding spaces with the form of large and spacious blocks. I modularized 3 existing forms of block and transformed them for the creativity design education. Therefore, I think far more studies should be on the way for the design education. Ubiquitous education environments are little ahead of time as of now, but we can arrange it with U-SPACE in the near futur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programs for design education are insufficient, even though they are in progress currently.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creativity desig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present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studies on advantages of design education. Second, we need to foster educational professionals in spite of design education with Korean curriculum for now. It is crucial to foster specialist teachers and provide spaces for establishment as general education. Third, tool for the various program must be developed and studies should be continued in oder to vitalize design education more and make it happen even at home.;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system requires creative and innovative individuals, so it is natural that our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the one for creativity. In other words, our society demands to have creativity education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society rather than that fosters just good student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education sites for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grafting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onto the existing system to effectively enhance the creativity for U-SPACE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s are consideration on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U-Space theory and analysis on current state of internal and external creativity design education and environment of U-SPACE. I used participant observation, photography, shooting filming an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behavior of education based on these method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to improve the creativity, I took advantage of U-SPACE and suggested a schedule for the creativity design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ame as below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11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8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