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8 0

도심 산업생산기반 확충을 위한 창신동 봉제공장형 경사지 주거계획

Title
도심 산업생산기반 확충을 위한 창신동 봉제공장형 경사지 주거계획
Other Titles
Design proposal of sewing factory and topography-adaptation housing complex for improving industry infrastructure in the city
Author
이은희
Alternative Author(s)
Lee, Eun Hee
Advisor(s)
노승범
Issue Date
2011-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 내에서 산업생산 기반 시설이 존재하는 것은 그 도시가 얼마나 활발하게 숨 쉬고 있는 가를 보여준다. 그만큼 산업생산 기반 시설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인 의미를 갖고 도시 안에서 존재한다. 하지만 도시는 운송수단의 발달로 인해서 도심과는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도심과 멀리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의 산업 시설은 낮은 지가와 운송수단을 고려하여 도심과는 조금 떨어진 곳으로 이동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산업 중 경공업에서 특히 의류업은 도심의 수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의류 산업은 소비의 주체인 사람들의 유동이 많고 빠른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심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할 수밖에 없다. 그 중 서울에서 가장 번화한 동대문 의류 상가들과 근접한 곳에 위치한 창신동 의류 산업생산 기반 지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지금은 서울성곽 경사지를 따라 빼곡히 주거들이 들어 차 있는 창신동은 겉에서 보면 다른 주거지역과 다를 바 없지만 실상은 다르다. 그 주거 안에 크고 작은 봉제 공장들은 대낮에도 돌아가고 있다. 도시 저소득층의 노후 불량 주거환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후한 주거로 분류되어 뉴타운이라는 무분별한 재개발의 압력을 받고 있다. 하지만 재개발은 창신동이 주민들의 삶의 터전일 뿐만 아니라 일의 터전이라는 사실을 망각한 채 그저 개발 사업으로만 인식된다. 창신동은 도심지내에서 경쟁력 있는 의류 생산지이므로 그 장소성을 고려한 개발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연구는 진행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창신동이 봉제 공장 지역이 된 배경과 그로인해 생겨난 낙후된 주거에 대해서 고찰한 후 현재 봉제 공장이 갖고 있는 산업적 지역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본다. 경사지 주거 단지 계획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창신동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에 대한 고찰로 진행되었다. 그 후 대상지 내에서 좀 더 구체적 영역을 설정하여 경사지에 대응할 수 있는 집합 주거 유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단지 내에서 주거와 공장의 조합의 단위의 배치가 운송 수단과의 단면적으로 해석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는 소비뿐만이 아니라 생산이 이루어질 때 활성화 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노후 경사지 주거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형에 순응하면서도 창신동이라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봉제 공장과 주거가 공존하는 주거의 단위 주호 유형을 제안하고 자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87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75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