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0

종합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낙상 위험요인 및 지식

Title
종합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낙상 위험요인 및 지식
Other Titles
The Risk Factors and Knowledge toward Falls among Hospitalized Old Adults
Author
최경숙
Alternative Author(s)
Choi, Kyung Sook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1-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약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낙상관련 특성에 따른 위험요인 및 지식을 파악하여 임상에 효과적이고 적합한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G지역에 소재한 1개 대학병원에서 2011년 5월 2일부터 5월 7일까지 일반병동에 입원중인 65세 이상 노인환자 14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낙상관련 특성, 낙상에 대한 지식측정,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MMSE-DS)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빈도분석,t-test,ANOVA와사후검증으로Duncan'sMultipleCompariso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지식측정 결과 총 12문항으로 12점 만점에 평균 8.68±2.43점이고 정답률은 57.9%-84.8%로 비교적 높았다. 전체 12개 문항 중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낙상은 노인의 사망률을 증가 시킨다’(84.8%)와 ‘질병 수가 많을수록 낙상의 위험성이 커진다’(84.1%)순으로 나타났다. 정답률이가장 낮은 문항은 ‘당뇨약 복용과 낙상은 관련이 없다’(57.9%)였다.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낙상 지식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지식수준이 높았다. 연령은 70-79세, 최종학력은 중졸, 결혼상태는 기혼에서 낙상 지식이 높았다. 돌봄자는 배우자인 경우와, 재원일수가 6-13일인 경우 낙상 지식이 높았으며 낙상 지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F=4.298, p=0.015), 재원일수(F=4.891, p=0.009), 돌봄자(F=2.987, p=0.033)이었다.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낙상 지식 결과 진단명의 경우 악성종양이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455, p=0.010). 대상자가 동반질환을 가진 경우는 82명(56.6%)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대상자의 낙상관련 특성에 따른 낙상지식 결과 병원낙상위험사정도구에의한지식은연령이70-79세만통계적으로유의하게높았다(F=4.298, p=0.015). 지난 1년 이내 낙상을 경험한 대상자와 활동 수준에서 1명의 약간의 도움으로 휠체어 이동 가능 대상자, 의사소통은 ’정상’인 대상자의 지식수준이 평균적으로 높았다. 수면장애등 낙상 위험요인을 4개 이상 가진 대상자와 낙상과 관련된 복용약물 중 B에 속한 약물 복용자의 지식수준도 평균적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타 낙상관련 특성의 낙상 지식은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대상자와 현재 수액을 주입 하는 경우, 의료기구 사용자의 평균 점수가 높았다. 또한 현재 배액관 개수를 1개 가지고 있는 대상자, 환자 스스로의 낙상위험 인지도가 높은 편이라고 응답한 대상자, 낙상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대상자, 수술경험 있는 대상자가 지식수준이 평균적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종합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들의 낙상 지식수준은 높았으나 낙상 예방 교육을 받은 대상자와 받지 않은 대상자간의 낙상 지식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현재 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낙상 예방 교육의 실태와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낙상교육을 노인 환자에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대상이 서울 G지역에 위치한 1개 종합병원 입원 노인환자만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므로 다양한 배경의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86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794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