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축제이벤트디자인 가치창출을 위한 통합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 평가체계 모형연구

Title
전략적 축제이벤트디자인 가치창출을 위한 통합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 평가체계 모형연구
Other Titles
Study on Integrate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valuation System the Model for Strategic Festival Event Design to Create Value
Author
최문희
Advisor(s)
박 규 원 지도교수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축제이벤트디자인과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며 그 또한 일부 홍보물 등에 한정되어 있어 디자인 콘텐츠 구축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축제가 민간 이벤트 회사에서 비용과 시간 및 연구의 부재 속에 차별성 없이 반복되는 양산작업을 계속적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편적 디자인 평가에서 벗어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통합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을 살펴봄으로써 개념의 이론적 타당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통합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은 아이덴티티디자인, 광고디자인, 정보디자인, 포장POP디자인, 디지털미디어디자인 등 5분야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구체적으로 축제이벤트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수정 보완하여 축제이벤트 디자인 플랫폼으로 재구성하였다. 실증연구는 예비조사, 제1차, 제2차 전문가집단 예비평가어 추출, 제3차 현장조사 평가어 추출, 제4차 케이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2009부터 2011년(약 3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 지정축제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는 대한민국 명예대표축제(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지정)인 보령머드축제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디자인과 축제이벤트디자인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아이덴티티디자인은 공간적 차별점(Space Difference), 시간적 차별점(Time Difference), 차별적 특성(Character Difference) 등으로 구분된다. 광고디자인은 매체적 차별점(Media Difference), 방법적 차별점(Method Difference), 규모적 차별점(Scale Difference)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보디자인은 부스 환경성(Booth Environment), 용도적 차별점(Use Difference), 지역과의 조화(Social Integration)로 조사되었다. 포장POP디자인은 조형성(Form), 외관(Appearance) 등이며 마지막으로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은 접근성(Access), 사용성(Use)으로 구분되고 있다. 축제이벤트디자인의 "이미지적" 평가기준은 경제적, 외향적, 미래지향적, 자연적, 전문성으로 나타났고 "심미적" 평가기준은 주목성, 예술성, 친밀성, 전달성, 문화성으로 나타났고 "기능적" 평가기준은 장소성, 안전성, 친환경, 실용성, 식별성으로 나타났다. 케이스 분석(보령머드축제)을 적용해 본 결과, 통합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 만족도와 축제이벤트디자인 만족도 분석에서 광고디자인, 정보디자인, 포장POP디자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 만족도와 축제이벤트디자인의 전반적인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정보 디자인, 포장POP디자인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록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합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각 만족도, 추천의사와 전반적인 만족도와의 회귀분석에서 정보디자인 만족도를 높이면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의 추천의사를 높이면 전반적인 추천의사를 높일 수 있었다. 축제이벤트디자인의 참가 전후 만족도, 추천의사에 대한 차이검증에서 축제 참가시 축제이벤트디자인은 축제 참가 후 더 만족스러운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축제이벤트디자인의 통합비주얼커뮤니케이션디자인 평가어 선호도 네트워크 모형을 제시하고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축제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축제이벤트디자인 분야에서 질적인 동반성장이 이루어지기 바란다. 아울러, 본 논문이 향후 정부, 지자체, 업계에서 실무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8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3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