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8 0

여성의 감성을 고려한 여성병원 병동부 실내환경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의 감성을 고려한 여성병원 병동부 실내환경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Author
손여림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인터넷이용과 같은 상호교류에 대해 불만족하였다. 100병상 미만의 소규모 여성병원은 출산여성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20, 30대를 위해 휴게실의 디지털 환경에 관한 부분을 확충하여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곱째, 여성병원 복도는 병동부의 공간특성에 따라 환경특성 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중․ 여성은 남성들에 비해 평균수명이 길고 신체적으로 서로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남성과는 구별되는 의료환경이 요구된다. 특히 여성병원은 임신, 출산과정을 포함하여 평생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차원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여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여성의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인 건강까지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특히 여성병원의 병동부는 환자와 의료진이 24시간 상주하며 생활이 이루어지는 인간적인 고려를 가장 필요로 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타 공간과는 차별화된 여성고유의 감성적 특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여성병원은 진료 및 기능적으로는 전문화되어 있지만 의료시설로서 디자인적인 면에서는 여성의 감성특성을 지원해줄 수 있는 측면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감성특성을 파악하고 여성병원 병동부의 현황과 공간평가, 이용자 환경평가, 남녀에 따른 중요도, 만족도, 영향력을 파악하여 여성의 감성적 특성을 고려한 여성병원 환경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여성에게 보다 전문화된 의료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여성병원이 여성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시설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11년 5월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여성병원 12곳을 중심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1년 7월 9일부터 2011년 7월 30일까지 병동부 여성환자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χ²검정, t-검정, F-검정, Duncan 테스트,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여성환자는 병동부 환경특성에 대해 남성환자와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환자는 전반적으로 남성환자에 비해 병동부 환경특성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환경특성 중 쾌적성, 프라이버시, 안전성, 친밀성, 상호교류, 적응성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이 남성과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다른 특수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병원 병동부는 일반병원의 병동부와는 다르게 여성 고유의 의료환경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여성의 감성특성을 고려한 병동부 환경을 제공해 준다면 여성의 신체적 건강, 정신적, 사회적인 건강까지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여성병원 병동부의 사례조사결과 여성병원은 여성의 감성특성을 고려하기 보다는 일반적이고 획일화된 병동부 환경으로 계획되고 있었다. 여성병원 병동부는 물리적인 환경면에서는 쾌적하고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자인적인 환경이나 가족․ 방문객과의 상호교류 그리고 디지털정보환경과 같은 부분은 부족하였다. 이는 아직도 병원이라는 공간이 기능적인 측면 위주로 계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여성병원 병동부의 심미적이고 상호교류적인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여성환자를 배려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해야 한다. 여성환자들은 특히 전반적인 분위기 보다는 가구나 예술품과 같이 세심한 계획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가구, 디자인적인 소품과 자연과 관련된 시각적인 예술품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여성환자는 병실과 복도에 비해 휴게실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여성병원은 그 특성상 다른 병원에 비해 병실 방문객이 많으며 여성은 타인과의 친교를 중시하는 등 관계지향성이 높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여성병원에서 휴게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가구 및 색채, 마감재 등을 통해 휴게실의 영역분리를 강화한다면 상호교류와 프라이버시가 동시에 배려되어 그 활용도가 더 커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여성환자의 개인특성, 병동부 이용특성, 병동부 공간특성들은 여성환자의 병동부 환경특성 만족도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 직업과 같은 개인특성 뿐만 아니라 입원기간, 입원동기와 같은 병원이용에 관련된 특성, 그리고 병실유형, 병상규모, 복도유형과 같은 병동부 공간에 관련된 특성들이 환자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력을 지닌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여성환자의 연령과 질환에 따라 만족 및 불만족하는 환경특성을 고려하면서 병실과 복도유형, 병원규모와 같은 물리적인 제반특성에 따른 만족 및 불만족 사항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여성병원 병실은 병동부의 이용특성 및 공간특성에 따라 환경특성 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입원기간이 장기 환자인 경우 단기 환자보다 병실가구, 색채 및 재료, 침구(베개)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해 불만족하였으며, 제왕절개 출산여성이 자연분만 출산여성에 비해 병실의 분위기, 색채 및 재료, 환자용 침구, 조명 등과 같은 다양한 항목에 대해 불만족하였다. 또한 1인실, 2인실의 병실유형에 비해 다인실의 환자가 커튼·스크린·옷장을 통한 프라이버시 보호, 탈의, 화장실 등 프라이버시에 대해 불만족하였다. 따라서 병실에서 장시간 머무르게 되는 장기입원의 경우 여성의 심리적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 침구와 베개의 소재나 색상, 퀄러티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고 샘플을 제시하여 환자의 필요 또는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하도록 하며, 입원동기(질환)에 따라 제왕절개 산모와 부인과 질환 환자가 자연분만 산모에 비해 수술로 인한 육체적 통증과 심리적 고통이 크기 때문에 질환을 고려한 물리적 환경지원이 차별화 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부인과 질환 등 장기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3인실 이상의 다인실 계획시에는 화장실로부터의 소음과 냄새를 완화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완충공간을 제공하여 여성의 불쾌감 및 수치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 여섯째, 여성병원 휴게실은 병동부의 이용특성 및 공간특성에 따라 환경특성 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장기 환자의 경우 휴게실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휴게실은 장기 환자의 이용 확률이 더 높기 때문에 입원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접하게 되는 생활의 단조로움과 따분한 병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입원으로 인한 답답함과 불안감, 그리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여성 취미활동을 위한 공간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휴게실은 병상규모에 따라 환경특성 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소규모 병동부에서 컴퓨터․ 소규모 병동부의 여성환자가 대규모 병동부의 여성환자에 비해 야외정원과의 연결성, 병원 정보를 위한 시설물 계획 등 전반적으로 더욱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규모 병원의 경우 중복도형을 취하고 있으면서 야외정원이 따로 계획되지 않았고 조망권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친화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반면 편복도형 병동부의 여성환자는 중복도형 병동부의 여성환자보다 대부분 환경특성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례조사 결과 편복도 병원은 중정형으로 되어있어 휴게실과 복도가 자연에 접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소음, 환기 등에서 양호하며 자연친화적이고 밝은 이미지를 조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규모 병원의 경우 편복도형의 장점을 도입하여 자연친화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덟째, 여성환자의 병동부 환경특성 만족도가 병동부 환경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여성환자의 병동부에 대한 만족도와 환경평가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병실의 경우 자연친화성, 프라이버시, 친밀성을 향상시키고 휴게실의 경우 심미성, 적응성을 향상시키며 복도의 경우 심미성, 친밀성을 향상시켜 여성환자에게 보다 만족스럽고 적절한 의료환경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5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1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