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0

원위 요골 골절의 고정술 중 척골 와에 조영제 주입의 유용성: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의 평가

Title
원위 요골 골절의 고정술 중 척골 와에 조영제 주입의 유용성: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의 평가
Other Titles
The usefulness of the contrast injection into the ulnar fovea in the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s: the evaluation of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injury
Author
정웅서
Alternative Author(s)
Chung, Ung Seo
Advisor(s)
이광현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목적 : 원위 요골 골절에서 동반되는 수근 관절의 척측부 손상은 매우 흔하고 원위 요척 관절의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삼각섬유연골복합체의 파열과 동반되어 불만족스런 결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삼각섬유연골복합체 파열을 진단하기 위하여 개발되어 있는 방법들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도가 떨어져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전위된 원위 요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 여부와 삼각섬유연골 부착부 손상의 진단을 위하여 수술 중 척골 와에 조영제를 투입하는 새로운 영상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7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척골 와에 조영제(contrast)를 주입하여 영상증폭장치로 촬영한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골 골절에 대한 견고한 내고정술 후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을 평가한 후 영상 증폭 장치를 이용하여 바늘이 척골 와에 위치한 것을 확인한 다음 서서히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연속적으로 영상을 얻어서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과 영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척골 경상돌기의 기저부 골절에 대해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골절부를 통해 삼각섬유연골 부착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였다. 원위 요골 골절 및 척골 경상돌기 골절을 방사선학적으로 분류하여 원위 요척 관절의 불안정성, 삼각섬유연골 부착부의 분리 및 조영제 영상과의 연관성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원위 요골 골절에 동반한 척골 경상돌기 골절은 86예였고 기저부 골절 41예 중 32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 평가에서 10예가 불안정하였다. 척골 와에 주입한 조영제 영상을 초승달 징후(crescent sign), 와 충전 결손(fovea filling defect), 와 충전(fovea filling), 확산 유출(diffuse extravasation)의 유형으로 구분을 시도하였고, 이러한 유형과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 여부는 통계학적으로 연관성이 있었다(p<0.05).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4개의 영상을 점수화한 평점 체계(scoring system)를 제안하여 분석한 결과 합계 점수가 0 이상일 경우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과 삼각섬유연골 부착부의 온전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요골 골절의 양상은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이나 조영제 영상과 관련이 없었으나 척골 경상돌기 기저부 골절의 40예 중 8예(20%)에서 원위 요척 관절의 불안정성을 동반하는 관련성을 보였다(p<0.05). 결론 :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내고정술 후 척골 와에 조영제를 투입하는 영상 기법은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을 진단하고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을 판단하는데 간편하고 유용한 평가 방법이었다. 척골 경상돌기 기저부 골절은 삼각섬유연골 부착부 손상과 원위 요척 관절 불안정성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8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1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