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 0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1 교과서 삽화 분석

Title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1 교과서 삽화 분석
Other Titles
Illustration Analysis of the High School Chemistry 1 Textbook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Author
민상기
Alternative Author(s)
Min, Sang Ki
Advisor(s)
손대원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2012학년도에 새롭게 적용되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2학년 화학1 교과서에 대한 삽화를 양적, 종류, 역할, 소재별로 분석하여 교과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하고 현장 교사들의 학습지도시 삽화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학교의 실정에 따라 교과서를 선택하고 내용을 재구성하는 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다음 교육과정에서 교과서의 삽화를 개선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1 교과서 4종을 삽화의 외형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각 교과서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우종옥 등(1992)과 박시현(1993)이 제시한 분석틀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함으로써 분석 항목 요소를 결정하고 판단기준을 정하였다. 삽화의 종류는 네 단원에 제시된 삽화를 그림, 사진, 도해, 만화, 도표의 다섯 종류로 구분하여 그 수를 비교 분석하였고, 삽화의 역할은 동기유발, 자료제공, 실험안내, 실험결과 제시 단계로 분류하였고, 삽화의 소재는 과학적 상황, 자연적 상황, 생활적 상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화학 4종 교과서의 총 삽화 수는 1726개였고, 교과서 별 평균 삽화 수는 432개로써, 1.93개/page의 삽화를 게재했다. 초등학교 과학교과서는 2.21개/page 의 삽화를, 중학교 과학교과서는 2.17개/page 의 삽화를 게재한 것으로 보아 학습자의 연령층이 낮아질수록 삽화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교과서에서의 삽화의 비중이 높은 것은 삽화가 학습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학습 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과학 교과에서 삽화는 글자보다 더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고 학습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하지만 내용과 직접적 연관이 없는 삽화가 다수 포함되어 오히려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을 위해 삽화를 충분히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시만 불필요한 삽화는 과감히 제거 할 필요가 있다. 둘째, 4종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의 수는 603개로 전체 삽화 중 34.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림 507개(29.4%), 도해 427개(24.7%), 도표 137개(8.0%), 만화 52개(3.0%)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실제로 경험이나 관찰을 할 수 없었던 현상을 이해함에 있어 사실적 자료제공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화학에서 사용하는 삽화의 주요 역할은 967개의 자료제공(56.1%)임을 확인하였다. 동기유발의 역할을 수행하는 삽화도 517개로써 전체의 29.9%를 차지했다. 이 결과로 삽화는 단순히 학습자의 동기 유발과 흥미를 위해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경험하거나 접하기 어려운 현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이해를 돕거나, 문자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학습 내용을 보조 혹은 전적으로 설명하여 주는 중요한 기능을 맡고 있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넷째, 4종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삽화의 소재 중 가장 확연히 두드러지는 소재는 1307개의 삽화가 나타내고 있는 과학적 상황이다. 이것은 전체의 75.8%의 비중을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 자연적 상황 211개(12.2%), 생활적 상황 207개(12.0%)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상황의 소재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은 과학 내용 전달의 용이성을 위함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때 2009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이 학습흥미를 유발하고, 단편적 지식·이해 교육이 아닌, 학습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주위에서 일어나는 상황이나 생활 모습을 통해 시선을 끄는 삽화를 통해 교과 내용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73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8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