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 0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프로세스가 갈등 수준에 따른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프로세스가 갈등 수준에 따른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Project Communication Management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flict : Focusing on Middle and Small Firms
Author
민승리
Advisor(s)
강 창 욱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조직(organization)을 결성하여 프로젝트(project)를 진행하면서 상호 의사소통(communication)에 있어서 조직 내 부서 간 혹은 상하 계층 간 갈등(conflict)이 발생한다. 이러한 갈등은 그 수준에 따라 프로젝트 성공 달성 극대화에 필수 요소인 조직유효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증대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올바른 프로젝트 종료를 위해서 의사소통에 대한 관리는 중시 되고 있으며, 의사소통 관리(communication management)에 대한 인식 부족과 소홀은 기업의 목적 달성을 위한 프로젝트 성공적 종료에 대한 저해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project communication management)의 프로세스가 제조, IT, 건설, 엔지니어링 중소기업의 갈등 수준에 따른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의사소통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중요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의 프로세스는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4th Edition(PMI, 2008)에 정의된 이해관계자 식별(Stakeholder Identify), 의사소통 계획(communication planning), 정보 배포(distribute information), 이해관계자 기대사항 관리(manage stakeholder expectation), 성과 보고(report performance)를 활용하였으며, 갈등 수준은 Khna(1978)와 Robey(1982)의 기능적 갈등(functional conflict)과 계층적 갈등(hierarchial conflict)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조직유효성은 Dalton(1980)의 심리적 성과지표인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과 집단 응집력(group cohesiveness)으로 구성하였다. 각 분석을 위한 설문 요소의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 크론바흐 α계수(Ch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영향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업종별 차이분석(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과 각 요인의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가설검정을 위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 배포 활용도가 가장 높은 업종은 건설업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업종은 제조업으로 나타났다. 계층적 갈등 수준이 높은 업종은 제조업이며, 가장 낮은 업종은 IT 업종이었다. 집단 응집력이 높게 나타난 업종은 건설과 엔지니어링 업종이었으며, 가장 낮은 업종은 제조업이었다. 둘째, 계층적 갈등 수준은 조직유효성의 집단 응집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이해관계자 식별과 이해관계자 기대사항 관리가 조직유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5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7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MECHANICAL & INDUSTRIAL ENGINEERING(기계 및 산업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